•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이데거의 선이해(先理解)와 인지과학의 프로네시스(Phronesis) (Heidegger's Pre-understanding and cognitive scientific Phronesi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3.09
28P 미리보기
하이데거의 선이해(先理解)와 인지과학의 프로네시스(Phronesis)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69호 / 356 ~ 383페이지
    · 저자명 : 양해림

    초록

    인지과학이 경험과의 교류를 가능하기 위해서는 인지과학이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중요한 관건이다. 인지과학은 인간과 동물의 마음에서 그리고 컴퓨터에서 각종 정보처리가 어떻게 일어나며, 그러한 정보처리를 통해서 마음 또는 지(知)가 어떻게 가능하게 되고 구현하는가를 탐구한다. 인지과학은 이러한 탐구를 통해 마음과 각종 지(知)의 본질을 이해하려는 종합학문이다. 여기서 우리는 하이데거의『존재와 시간』(1927)에서 드러난 해석학적 현상학의 이해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하이데거는 해석학을 존재론이라고 하는 광범위한 맥락에서 해석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하이데거에게 있어서 존재론은 세계에 어떤 종류의 사물들이 존재하며, 그것들은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따지는 학문이다. 즉 인간에 관한 우리의 지식과 세계 안에 있는 다른 대상에 관한 우리의 지식사이에 존재하는 유사성과 차이점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이러한 존재론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던 하이데거는 후설(Edmund Husserl, 1859-1938)에 의한 현상학(phenomenology)의 방법에 의거하여 인간의 존재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드레푸스(Dreyfus)와 맥킨타이어(McIntyre)는 후설의 인지가 인지주의의 심적 표상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맥킨타이어가 지적하듯이, 인지주의가 표방하는 표상주의와 계산주의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명제이다. 여기서 주로 하이데거는 현존재(Dasein)의 해석학을 시도하였다. 하이데거의 현상학과 인지주의는 모든 의식행위와 외적 대상 사이의 인과적 관계, 신체적 행위나 사회적 상호작용, 뇌의 신경생리학적 상태 등에 대한 자연주의적 이론과 영역을 달리하는 접근법이다.
    하이데거는 이해의 실천성에 주목하며 해석학과 인지과학이 가리키고 있는 이해의 보편성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는 추상적 초월성을 보충하는 방식으로 해석학의 지평확장을 타진했다. 그러나 여기에서 그 초월성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의 기재가 될 인지과학의 한 성과라 부르는 귀결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이 작업은 중요한 예비적 분석이다. 이 글은 주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해석학이 이해의 보편성의 근거로써 제시하고 있는 “언어의 형이상학적 존재”에 대한 대안의 모색에 초점이 맞추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하이데거의 해석학을 부정하는 차원이 아니라, 그의 전기사상, 즉『존재와 시간』(Sein und Zeit) (1927)의 현존재분석론에 들어있는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차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따라서 필자는 해석학의 출발점이자 동력으로 취해진 인지과학의 새 활로를 여는 출구로 지목되는 이유를 인지과학적 측면에서 고찰하며 해명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between cognitive science and an experience depends on how cognitive science do. A cognitive science is a multidisciplinary study to explore a mind and a variety of essences of knowledge through discoveries on how various information processes can occur in a computer and how a mind or knowledge can be available and moreover realized.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understanding of hermeneutical phenomenology, revealed in Heidegger's 『Sein und Zeit』 (1927). He contributed to a development of hermeneutics in a wide context of ontologies. According to him, ontology was a study to explore what kinds of objects existed in a world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y had one another. While struggling with ontological questions, he conducted a study of human being's existence based on a method of phenomenology founded by Edmund Husserl. Moreover, Dreyfus and McIntyre claimed that Husserl's cognition played the same role as mental representation of cognitivism did. As McIntyre pointed out, representationalism and computationalism suggested in cognitivism were not a proposition that could be compatible each other. Most of trials Heidegger made here were hermeneutics of Dasein. His approach in phenomenology and cognitivism was different from a theory and scope of naturalism regarding cognitive relationship between all kinds of conscious behaviors and exterior objects, physical behaviors or social interaction, and a neurobiological condition of a brain. This study focused on giving critics and exploring an alternative through it about "metaphysical existence of language”, presented as an universality of understanding according to Heidegger's phenomenological hermeneutics. This work, however, is not investigating on a negative perspective of Heidegger's hermeneutics but on a perspective of maximizing the possibilities lying in former part of his idea, or 『Sein und Zeit』's theory of analysis in Dase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