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래턱뼈와 척추뼈, 아래팔뼈, 넙다리뼈 뼈밀도 사이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of Bone Mineral Density between Mandible and Vertebra, Forearm, and Femur)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0.09
13P 미리보기
아래턱뼈와 척추뼈, 아래팔뼈, 넙다리뼈 뼈밀도 사이의 상관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체질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해부·생물인류학 / 23권 / 3호 / 155 ~ 167페이지
    · 저자명 : 송용태, 서윤경, 전유미, 최윤영, 백두진

    초록

    골다공증은 뼈량의 감소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골절을 야기시키는 질환이다. 아래턱뼈에서 해면뼈의양상은 몸통뼈대가 골절되는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어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아래턱뼈의 양적, 질적 평가는 턱끝성형술, 아래턱뼈 절제술, 임플란트 등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아래턱뼈의 뼈밀도와 부피는 시술의 성공여부를 예측하는 결정적인 인자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넙다리뼈와 목뼈, 허리뼈, 아래팔뼈의 뼈밀도와 아래턱뼈의 뼈밀도 사이의 연관성을확인하고 어떤 뼈가 아래턱뼈의 뼈밀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인지 알아보았다.
    고정된 한국 성인 시신 42구(남자 22구, 여자 20구, 평균 나이 66.95세)에서 분리한 둘째부터 다섯째목뼈 각42쪽, 첫째부터 넷째허리뼈 각 42쪽, 왼쪽 아래팔뼈 42쪽, 왼쪽 넙다리뼈 42쪽과 아래턱뼈 61개를 대상으로 이중에너지방사선흡수계측기를 이용하여 뼈밀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으며 남녀, 연령별로 나누어 SPSS 12.0 프로그램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골다공성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비교한 후 다음과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턱뼈각의 뼈밀도는 평균 0.40 g/cm2, 턱뼈결합의 뼈밀도는 평균 0.64 g/cm2, 허리뼈의 뼈밀도는 평균 0.76g/cm2, 넙다리뼈목의 뼈밀도는 평균 0.58 g/cm2, 아래팔뼈 먼쪽 1/3 부위 뼈밀도는 평균 0.34 g/cm2, 아래팔뼈 먼쪽 뼈밀도는 평균 0.58 g/cm2이었다.
    2. 턱뼈각, 첫째큰어금니와 둘째큰어금니 사이, 첫째큰어금니와 둘째작은어금니 사이, 앞니분절의 뼈밀도는 모두 아래팔뼈 먼쪽 1/3 부위의 뼈밀도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고(r=0.742, 0.697, 0.618, 0.652), 첫째작은어금니와둘째작은어금니 사이는 넙다리뼈목 전체 뼈밀도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r=0.542).
    3. 아래턱뼈와 넙다리뼈목의 뼈밀도는 모든 항목 중 아래턱뼈각 부위와 넙다리뼈목 전체의 상관관계가 가장높았다.
    4. 첫째큰어금니와 둘째큰어금니 사이의 아래턱뼈 뼈밀도는 다섯째목뼈의 뼈밀도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고(r=0.543), 아래턱뼈 앞니 부위의 뼈밀도는 셋째허리뼈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r=0.561).
    5. 아래턱뼈의 부분별 뼈밀도를 몸통뼈대의 뼈밀도를 기준으로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분류하여 비교해본 결과 몸통뼈대의 뼈밀도가 감소하면 아래턱뼈 뼈밀도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골다공증일 때 몸통뼈대의 부위별 뼈밀도로 아래턱뼈의 뼈밀도 예측이 가능하며 넙다리뼈 돌기사이 부위 또는 아래팔뼈의 뼈밀도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정확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Generally, osteoporosis is caused by the age-related physiologic bone loss. In cases of severe osteoporosis,the reduced bone mass and increaed skeletal fragility make the risk of fracture high. Rece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dible and the condition of the skeletal bone, the molphometric data about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mandible are very important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larify the correlations of the mineral density between mandible and other bones,to predict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he mandible.
    Cervical (2nd~5th) and lumbar (1st~4th) vertebrae, the bones of forearm and proximal femurs, mandibles from 42-embalmed cadavers (22/M, 20/F, mean age: 66.95 years) were examined. The BMD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he data were analysed with SPSS 12.0 program according to age, gender,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1. The BMD in the mandibular areas were variable. The BMD in the angle of the mandible (mean 0.40 g/cm2)was similar with that of ultra-distal part of the forearm (mean 0.34 g/cm2).
    2. The BMD in the mandibl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at of around the forearm.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density in the angle, the part between 1st and 2nd molar, the part between 1st molar and 2nd premolar and incisor portion of the mandible and density in the 1/3-distal part of the forearm was high (r=0.742, 0.697,0.618, 0.652).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density in the part between 1st and 2nd premolar and density in the total femur was high (r=0.542).
    3. The BMD in the mandible was correlated with that of around the femur neck (r=0.607).
    4.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BMD in the 1st and 2nd molar of the mandible and the BMD in the 5th cervical vertebra was high (r=0.543). And als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BMD in the incisor area of the mandible and the BMD in the 3rd lumbar vertebra was high (r=0.561).
    5. Bony status of the mandible was classified into normal, osteopenia, osteoporosis by BMD of WHO criteria.
    The data represented that BMD of the mandible was decreased as BMD of the skeletal bones decreased.
    It is concluded that it could be possible to predict BMD of the mandible by the measurement of BMD in the forea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부·생물인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