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제의 정체성을 넘어서 - 열린 문화적 정체성 구축을 위한 모색으로서 서사적 정체성 연구 (Beyond Exclusive Identity: A Study of Narrative Identity as a Basis for Construction of Open Cultural Identi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0.07
33P 미리보기
배제의 정체성을 넘어서 - 열린 문화적 정체성 구축을 위한 모색으로서 서사적 정체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61권 / 3호 / 225 ~ 257페이지
    · 저자명 : 김정현

    초록

    이 글은 정체성의 문제를 다룬다. 정체성은 제국주의가 문화를 통해 식민지를 지배하고자 했을 당시 문화적 사고의 핵심에 있었던 문제였다. 제국은 자국의 정체성 확립을 통해, 혹은 확립과 함께 타국의 타자성을 정립했고, 그럼으로써 식민지 지배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오늘날에도 바뀐 모습으로 확인된다.
    정체성의 부정적 측면으로 인해 정체성 개념을 해체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이 시도에 담긴 긍정적 의도에도 불구하고, 이 개념의 해체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는 생각에서 여전히 정체성 개념을 유지하려는 이들이 있다. 서사적 정체성을 말하는 일련의 학자들이 바로 그들이다.
    제국의 지배 과정에서 정체성은 본질적인 것, 초역사적인 것, 변하지 않는 것, 완성된 것으로 이해된 채로 동원되었다. 따라서 정체성 개념을 해체하지 않고 견지하려할 경우, 정체성 개념에 내포된 이러한 경직성과 폐쇄성의 완화는 필수적이다. 개방적 정체성 개념이 요청되는 것이다. 이 글은 서사적 정체성이 이러한 요청에 부응할 수 있는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서사를 통해 형성되는 정체성, 곧 서사적 정체성은 그 개념의 특성 상 개방적이다. 그것은 항상 새로운 서사에 대해 열려있으며, 새로운 읽기를 통해 거듭 형성되는 정체성이다. 서사적 정체성은, 거기서 더 나아간다.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서사를 성찰적으로 적용할 것을 요구함으로써 항상 우리의 삶을 검토하게 한다.
    서사적 정체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산출된 성과들은 문화적 정체성을 개방적으로 이해하는데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우리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문화를 어떻게 해석학적으로 올바르게 수용할 것인가에 대해 서사적 정체성은 여러 가지 기여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ies to construct a notion of open cultural identity. Identity, according to Edward Said, was “the core of cultural thought during the era of imperialism”. In other words, it was “the hallmark of imperialist cultures.” The ground which this notion can play such a role is that it essentially constructs itself with excluding others. Each societ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colonizing one or colonized one, always builds and maintains its identity through ceaselessly creating and recreating ‘other’. This implies that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is not a static one, but a social, academic, and political one controlled by power politics.
    What are the inner-conceptual grounds of identity for its being used for imperialist practice? What kind of understanding of identity has made it possible for imperialism to do such a practice? To both imperialist and nationalist, identity has been understood as a substantial essence, invariable and ahistorical thing. It has been recognized as a border line as well. As a substantial and history transcending thing, identity has been taken as unchangeable. As a border line, it has played a role of the wall separating us from them.
    Cultural identity has been appeared as a main issue at the space of nonacademic and academic areas. For example, the debate on national identity in France and the discussion over the concept of East Asia Community in Korea, Japan and China reflect this situation. Cultural identity means "the identity of a group or culture, or of an individual as far as one is influenced by one's belonging to a group or culture." The definition of cultural identity by Stuart Hall focuses on the latter aspect, that is, the influence of culture on the formation of an individual identity. He uses this notion to tell that it is not possible to understand identity outside culture and representation.
    The experience of imperialism teaches us that it is required to construct a notion of open identity to cut the connection between identity and violence.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There are some philosophers like Charles Taylor, Alasdair MacIntyre, Martha Nussbaum and Paul Ricoeur who emphasize that concept. Among them, we analyze the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presented by Ricoeur who, we believe, give us the richest insights and contents.
    Ricoeur argues that narrative identity is “the kind of identity that human beings acquire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narrative function.” Of course, this is a formal and abstract definition. There are preliminaries which are required to understand his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at narrative identity has been suggested as one constitutive of selfhood, not of a thing. So,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two meanings of identity, that is, idem-identity which refers to the identity of a thing and ipse-identity which refers to identity of a self. The distinctive sense of ipse-identity is "permanence in time". According to Ricoeur's analysis, the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can contain this sense of identity. The reason narrative identity can do that is that it is grounded on the dynamic identity model issued from the poetic composition of narrative text.
    The core of narrative, or story lies in plotting(mise en intrigue). We can find dynamic identity in the plot, which creates the identity of a character we can call his/her narrative identity. Plotting makes the mediation between permanence and change. For plot “provides the model of discordant concordance on which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narrative identity of the character.” Now we can define narrative identity more comprehensively through synthesizing the explanations of Ricoeur: Narrative identity is the identity of a human self embodying dialectics of permanence and change which is formed through the mediation of narrative function and resembles the identity of a character.
    What does the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imply for cultural identity? The notion contributes to construct an open cultural identity by letting us recognize that identity concerning human is not substantial, ahistorical and unchangeable. It is reconfigured again and again through applying narratives from the past and the outside reflexively. This means that cultural identity, which concerns with human identity, is not a origin, but a product.
    There remains something to say of narrative which is the core element of narrative identity. To construct one narrative is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other stories. Because of this characteristic of making story, story can be used by the part that has power for its dominance over the powerless. But this defect of narrative does not give us the reason we should give up narrative. We should and can compensate the weakness of one narrative by constructing other narrative. If we throw away narrative, we would lose the most important resource for forming and explicating ourselves'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