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계와 공간을 넘어: 한국 가톨릭 이주사목의 의의와 전망 (Beyond Hierarchical Discrimination and Spatial Marginalization: On the Pastoral Ministry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for Migrant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0.12
40P 미리보기
위계와 공간을 넘어: 한국 가톨릭 이주사목의 의의와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211호 / 269 ~ 308페이지
    · 저자명 : 최선, 최희전

    초록

    우리는 어떻게 이방인을 동행할 것인가? 한국 가톨릭 교회는 국내 이주 노동자를 어떻게 우리의 형제자매로 환대할 것인가? 본고는 이 두 질문에 집중하며 그에 대한 답변을 한국 가톨릭 교회의 이주사목 활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적 실천 방향과 비전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본고에서 핵심 개념이자 핵심 이미지로 사용되는 용어는 ‘그 밖’이라는 일상어이다. ‘나머지의’, ‘그 외의 다른’이라는 의미의 이 일상어는 명확한 기준과 범위, 그리고 한도 ‘너머’의 것을 암시하는 동시에, 그 ‘너머’의 것의 상대적 열등성과 하위성을 내포한다. 이 용어는 분리와 경계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는 동시에, 안과 밖의 경계가 붕괴되고 극복되는 방식 역시 공간 이미지로 제시하며 논의의 확장을 견인할 것이다.
    논의는 첫째, ‘그 밖’이라는 용어가 갖는 공간적·인종적·민족적·문화적·사회적·계급적 함의를 변주하며 우리 사회 속 이주 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구별과 차별, 공간적 분리와 조직적 배제를 짚어본 후 법령으로 확장, 우리의 법 테두리 안에서 이들 이주 노동자에 대한 구별과 차별의 합법화 양상을 살펴본다. 둘째, 구별과 차별 중지에 대한 당위는 한국 가톨릭 교회의 이주 노동자에 대한 이해와 사목에 대한 논의로 이어져, 가톨릭 정신의 실천 속에서 구별과 차별의 중지 가능성과 방안을 모색한다. 그리고 이 모색 속에 동반의 사목이 제안된다.
    본고는 우리 땅의 250만 명의 국내유입 이주자를 시대의 표징으로 독해하는 한국 가톨릭 이주사목이 기꺼이 실천해야 할 사목으로 동행의 사목을 제안한다. 동행의 사목은 이 땅 위에 펼쳐질 하느님의 법을 구체적 가능태로 제시하는 동시에, ‘안’과 ‘밖’이라는 차별적이며 분리적 기준에 의하여 인간을 규범화하려는 인간의 법이 궁극적으로 무엇에 의하여 어떻게 중지될 수 있으며, 왜 중지되어야만 하는지 제시한다.

    영어초록

    How can we accompany aliens? How can the Korean Catholic Church welcome migrant workers as our brothers and sisters? This paper, in order to answer these two questions, investigate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ctivities for migrant workers of the Pastoral Ministry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is paper particularly gives attention to the daily language, ‘the other’, which categorizes migrant workers as such. In the Korean context, ‘the other’, which, as in ‘one/the other’, indicates social differentiation and discrimination and implies spatial segregation and systematic exclusion as in ‘in/out or interior/exterior’. The word which means ‘the rest’ and ‘the different’, implies a clear standard and boundary, and something ‘beyond’ the limit while at the same time suggesting the relative inferiority and inferiority of the ‘beyond’. ‘The other’ suggests the concepts of separation and boundary and presents the image of space as a way of breaking down the boundary between the in and the out and surpassing the boundary in order to deepen the discussion.
    Firstly, this paper examines the spatial, racial, ethnic, cultural, social, and class implications, points out social differentiation and discrimination, spatial separation and organizational exclusion against migrant workers in our society, and then reviews civil laws by examining how within the boundary of our laws the differentiat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se migrant workers are legitimised. Secondly, the rationale for termination of differentiation and discrimination leads to discussions on the understanding and the pastoral care of migrant workers by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is paper seeks the possibility and plan to stop differentiation and discrimination in the good spirit of Catholicism. With this rationale, this paper proposes ministry of accompaniment.
    This paper proposes ministry of accompaniment that the Migrant ministry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should put into practice while considering the 2.5 million migrants of our land as signs of the times. The ministry of accompaniment presents God’s law on this earth as a concrete possibility, and at the same time how, by what and why human law that tries to standardise mankind by discriminatory and separate standards of the in and the out can ultimately be stopp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전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