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영권이라는 신화를 넘어 (Break the Myth: Management Righ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1.12
39P 미리보기
경영권이라는 신화를 넘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 / 62권 / 4호 / 45 ~ 83페이지
    · 저자명 : 이철수

    초록

    이른바 ‘경영권’은 2003년 대법원 판결을 계기로 헌법상의 지위를 획득한 후 정리해고나 구조조정 관련 판결에서 근로자의 노동3권 행사를 제한하는 수단으로서 사납게 맹위를 떨쳐왔고, 비단 쟁의행위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법원만이 아니라 공권력을 행사하는 행정부에서도 만병통치약으로 남용되어 왔다.
    1998년 IMF 경제위기 이전의 대법원 판례는 경영사항에 대한 쟁의행위의 정당성을 일률적으로 부정하지는 않았으나, IMF 당시 정리해고와 구조조정을 반대하는 쟁의행위가 크게 증가하면서 대법원은 ‘경영주체에 의한 고도의 경영상 결단에 속하는 사항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단체교섭의 대상이 될 수 없고, 비록 그 실시로 인해 근로자의 지위나 근로조건의 변경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더라도 이를 반대하는 쟁의행위는 목적의 정당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경영권의 불가침성을 확립한다.
    본고는 경영권을 법적 용어로 자래매김하는 것부터 비교법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가사 이를 권리로 인정한다 하더라도 논자마다 그 객체와 내용을 이해함에 있어 너무나 현격한 인식의 편차를 보이고 있어 실정법적인 유의미성을 찾기 힘들다는 점을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경영권을 헌법상의 기본권으로 인정한다 하더라도 노동3권과 충돌할 경우 규범조화적 해석을 통해 그 한계가 설정되어야 함에도 법원의 태도는 선험적인 불가침성만을 강조한 나머지 법해석을 포기한다는 점을 비판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so-called ‘management right’ has been raging fiercely as a means of restricting workers’ exercise of the labor rights in judgments related to dismissal or restructuring after acquiring constitutional status in the wake of the Supreme Court ruling in 2003. It has been abused as a panacea not only in the courts, but also in the executive branch which exercising governmental authority.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before the 1998 IMF economic crisis did not uniformly deny the justification of industrial actions on business matters, but as industrial actions against dismissal or restructuring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IMF,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highly matters pertaining to management decisions’ cannot be subject to collective bargaining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and even if the implementation inevitably entails changes in the status or working conditions of workers, industrial action against them cannot be considered justifiable. It establishes the inviolability of the management right.
    However, if you look at the management right jurisprudence in detail, its contents are vague and unclear, and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no clear basis for arguing that it takes precedence over the labor rights, it is repeatedly repeated by the courts and finally it has become a myth.
    Since the 2010s, the trial and appellate courts judgments and scholars’ arguments against the management right have continued to appear, and the Supreme Court’s opinion on this has also shown signs of change to some extent, recognizing the validity of the so-called employment security agreement.
    As a starting point, this article intends to critically review using management right as a legal term in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Even if management right was acknowledged as a legal right, it’s difficult to find substantial legal significance because marked difference in perception its object and content between its advocators. Lastly, even if it is acknowledged as a constitutional right, the court’s attitude has to be criticized for abandon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by emphasizing only a priori inviolability of management right, even though the limits should be set through norm-harmonized interpretation with labor r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