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태석·이현화 희곡의 ‘정치적 글쓰기’ 연구 — 「운상각」과 「넋씨」를 중심으로 (A Study on Political Writing by Oh Taeseok and Lee Hyunhwa of Play ― Focusing on “Unsanggak” and “Spiri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2.08
26P 미리보기
오태석·이현화 희곡의 ‘정치적 글쓰기’ 연구 — 「운상각」과 「넋씨」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예창작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창작 / 21권 / 2호 / 229 ~ 254페이지
    · 저자명 : 김지수

    초록

    우리나라 연극은 관객이 없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하지만 주제의식이 없는 시도는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결국 글쓰기, 즉 희곡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러한 문제를 타파하고자 오태석과 이현화의 글쓰기를 연구해보고자 했다. 두 작가는 도전적이고 파격적인 희곡으로 우리나라 연극 발전에 기여한 대표 작가이지만 작품이 난해하고 모호하다는 이유로 극작술이 미진하다는 평을 받기도 한다. 이에 두 작가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난해성과 모호성에 대해 ‘정치적 글쓰기’ 차원에서 새롭게 접근해보고자 했다.
    ‘정치적 글쓰기’란 익숙하게 여기는 우리의 감각 질서에 균열을 일으켜 ‘틈’을 만들고 낯선 것들을 보게 만드는 미학적 행위와 같다. 틈을 통해서 들리지 않던 담론을 듣게 하려는 의도이다. 따라서 오태석과 이현화의 희곡에 나타나는 난해함과 모호성의 이유를 이러한 ‘낯선’ 의도에서 파악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는 진일보한 극작술의 단초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오태석은 「운상각」에서 ‘영혼결혼식’ 모티프를 통해 ‘틈’을 만들었다. 틈을 통해 시대와 세대를 초월하는 목소리들이 모여 난장(亂場)의 공간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로써 화해와 소통의 장을 의도하는 한편 필름 없이 사진 찍는 장면으로 여전히 모호한 결말을 맺는다. 이현화는 「넋씨」에서 ‘씨받이’ 모티프를 통해 ‘틈’을 만들었다. 혼돈의 공간이었던 틈은 셈해지지 않은 자들의 목소리를 찾고 그들 몫에 대한 바른 자리를 찾아주며 질서를 회복하는 공간으로 형상화되었으나 여전히 불온한 감정을 남긴다.
    이처럼 두 작가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미심쩍은 결말은 ‘정치적인 것’으로써의 글쓰기 전략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닫힌 결말을 지양하며 관객으로 하여금 극 속에서 갈등을 발견하기보다 오히려 극 텍스트와의 갈등관계를 형성하게 만드는 의도라는 점에서 그렇다. 때문에 관객은 극텍스트의 느슨한 틈에 대해 원인을 찾기 위해 능동적인 참여를 하며 다양한 담론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아직까지 ‘정치적인 것’으로써 글쓰기 전략을 활용한 경우는 많지 않다. 따라서 그 내용과 방법에 대한 논의는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사실주의 일변도의 글쓰기 환경에서 새로운 분석틀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발전된 극작술 모색의 기회를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Korean theater has made various attempts to overcome the crisis without audiences. However, attempts without a subject consciousness cannot be a solution. In the end, it results in a problem of writing, that is, plays. To overcome this problem, I tried to study the writing of Oh Taeseok and Lee Hyunhwa. The two writers are representative writers wh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theater with challenging and unconventional plays, but they are also praised for their poor playwriting skills because the work is difficult and ambiguous. Therefore, I tried to approach the difficulties and ambiguity that appear in the works of the two artists in terms of ‘political writing.’ Political writing is like an aesthetic act that cracks our sensory order, creates a ‘gap’ and makes us see unfamiliar things. The intention is to make them hear discourses that were not heard through the gap. Therefore, the reason for the difficulty and ambiguity that appear in Oh Taeseok and Lee Hyunhwa’s plays was to be grasped from this ‘unfamiliar’ intention. This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advanced playwriting.
    Oh Taeseok created a ‘gap’ through the motif of ‘Soul Wedding’ in “Unsanggak”. Through the gap, voices that transcend the times and generations gathered to shape it into a space of chaos. As a result, it intends a place of reconciliation and communication, while still having an ambiguous ending with a scene of taking pictures without a film. Lee Hyunhwa made a ‘gap’ through the ‘surrogate mother’ motif in “Spirit”. The gap, which used to be a space of chaos, has been embodied as a space to restore order by finding the voices of those who have not been counted, finding the right place for their share, but still leaves an uneasy feeling.
    As such, the suspicious ending in the works of the two artists can be understood as a writing strategy as ‘political’. This is because it is intended to avoid the closed ending and make the audience form a conflict relationship with the drama text rather than discovering conflict in the play. Therefore, the audience actively participates in finding the cause of the loose gap in the play text and creates various discourses.
    So far, there are not many cases of using writing strategies as ‘political’. Therefore, discussions on the content and method should proceed further.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a new analysis framework was prepared in a one-sided writing environment of realism and through this,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seek developed playwri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창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