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라우마와 릴레이셔널 홈: 위기에 처한 목회자와 사모 돌봄과 상담을 위한 개념적 틀 (Title: Trauma and Relational Home: Conceptual Framework for Caring and Counseling of Pastors and Spous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8.02
28P 미리보기
트라우마와 릴레이셔널 홈: 위기에 처한 목회자와 사모 돌봄과 상담을 위한 개념적 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58호 / 389 ~ 416페이지
    · 저자명 : 김정선

    초록

    본고는 목회 사건과 자료에서 출발하여 실천-이론-실천으로 이어지는 목회신학 방법론에 따라 트라우마와 릴레이셔널 홈(relational home)이란 개념을 중심으로 목회자와 사모를 이해하고 돌보고 상담하는 틀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트라우마와 릴레이셔널 홈의 개념을 간략히 소개하고, 두 개념이 목회자와 사모의 상황과 심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며, 두 개념에 기초하여 목회자와 사모의 돌봄과 상담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본고는 트라우마를 이상심리학의 한 범주로만 제한시키지 않고 인간의 존재와 상황을 폭넓게 해석할 수 있는 이론적 패러다임으로 이해하고, 스톨로로우(Robert D. Stolorow)의 ‘릴레이션날 홈’을 트라우마 치유의 주요한 은유로 활용하여 목회자와 사모의 상황과 치유과정을 분석하려고 노력했다. 교회 분열과 갈등은 목회자와 사모에게는 트라우마에 상응하는 충격을 줄 수 있고, 위기에 처한 교인이나 사회적 약자를 도우면서 목회자와 사모는 간접적 트라우마를 겪을 수도 있다. 고통이 있어도 다른 사람들에게 털어놓기 어려운 목회자와 사모의 특수한 사정은 트라우마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외상성 사건과 조건에 의해 과거와 현재의 트라우마의 영향을 받고 있는 목회자와 사모에게는 릴레이셔널 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해 릴레이셔널 홈이 될 수 있는 지지모임을 만들고, 초기에는 상담자가 적극적인 개입하여 서로 지지하고 공감할 수 있는 안전한 분위기를 확립하고, 공감과 소통을 위해 비폭력대화를 도입하며, 트라우마의 관점을 수시로 소개하며, 마무리를 할 때에는 통성기도를 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목회자와 사모의 스트레스와 트라우마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촉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llowing the pastoral theological methodology which consists of practice-theory-practice, presents a conceptual framework for caring and counseling pastors and spouses with reference to the two concepts: trauma and relational home. First, it briefly introduces the concepts of trauma and relational home, then demonstrates that these two concepts serve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emotional state of pastors and spouses, and finally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ir caring and counseling on the basis of these two concepts.
    By not limiting the concept of trauma to a criterion of abnormal psychology, but understanding it as a theoretical paradigm for interpreting human existence and predicaments in a comprehensive way, on the one hand, and by employing the notion of relational home coined by Robert D. Stolorow as a major metaphor for healing trauma,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situation of pastors and spouses and their healing process. Church division and conflicts may inflict shocks comparable to trauma on pastors and spouses, and they may be subject to indirect traumas in their caring those in crisis as well as the weak and oppressed. Since pastors and spouses tend to have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ir pains and experiences to others, their traumas may become intensified.
    Pastors and spouses who are under the effects of traumas through traumatic events and conditions in the present and in the past have great need of a relational home.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five strategies for caring and counseling pastors and spouses: (1) to create groups of pastors and spouses which may become a relational home; (2) to establish an environment of safety for mutual support and empathy through the counselor’s active intervention in the initial stage of the group; (3) to introduce the nonviolent communication for empath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4) to inform the trauma perspective and model frequently; (5) to utilize the Tongseong Gido (Korean prayer) at the end of the group work.
    In concluding remarks this study raises concern for scientific studies of stresses and traumas of pastors and spou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