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反)성장 서사 인물과 주체화 기획의 문제 - 김영하 장편소설 『너의 목소리가 들려』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tigrowth Characters and Subjectivation: A Psychoanalysis on Kim Young-ha’s “I Hear Your Voic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3.12
29P 미리보기
반(反)성장 서사 인물과 주체화 기획의 문제 - 김영하 장편소설 『너의 목소리가 들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50호 / 179 ~ 207페이지
    · 저자명 : 양미영

    초록

    지금까지 ‘반(反)성장’이라는 개념은 성장소설의 논의 안에서 함께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반성장 서사를 성장소설의 한 면이 아닌 개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관점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반성장 소설에서 청소년 인물의 주체화 문제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정신분석학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있으며, 이를 위해 김영하의 장편소설 『너의 목소리가 들려』의 등장인물을 분석했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는 반성장소설로, 자신들만의 세계에 고립되어 있으며 외부 사회로부터 받는 고통에 괴로워하다 ‘정상적인’ 주체로 성장하지 못하고 결국 죽음에 이르고 마는 소년들의 삶을 그리고 있다. 두 주인공 제이와 동규는 수동적 성장보다는 능동적 퇴행과 탈선을 선택하여 나름의 주체화를 꾀하는 반성장 인물인데,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제이는 상징계 진입을 거부하고 실재계로 미끄러지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의 자아는 자의적으로 ‘어른 되기’를 거부하는데, 다시 말해 제이는 통상·사회적인 성장을 거부하고 상징계가 아닌 곳에서 스스로 상징(권력)이 되고자하는 나르시시스트적 주체화를 시도하는 인물이다. 한편 동규는 반성장 서사 인물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준다. 자의적으로 성장을 거부한다기보다는, 주체화를 기획하여 상상계적 미성숙 상태에서 벗어나려고 하지만 실패하고 좌절하여 결국 성장의 단계로 나아가지 못하고 상상계에 남게 되어버리는 양상이다.
    제이와 동규의 경우로 미루어 볼 때, 반성장 인물의 주체화 양상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스스로 상징계를 부정하고 거부하는 ‘비껴나간’ 주체가 되어 실재계로 향하는 영웅적 인물형이고, 두 번째 유형은 주체화의 기획을 통하여 상징계로의 진입을 꾀하지만 실패하여 상상계에 고착하는 비극적 인물형이다. 제이와 동규는 둘 다 상징계에 속하지 못하여 ‘어른’이 되지 못했다는 공통점과, 각각 실재계와 상상계로 그 행보를 달리했다는 차이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rgues that Antigrowth novel has to be admitted individually, although the concept of 'Antigrowth' in literature has been dealt with discourse of Initiation novel. This essay, therefore, suggests forms of juvenile characters’ subjectivation in ‘antigrowth’ narrative, analysing Kim Young-ha’s “I Hear Your Voice” with basic concepts of psychoanalysis. The main characters (J and Tong-gyu) in “I Hear Your Voice” are isolated in their own world and suffered from the other world that is ‘society’. They cannot become ‘normal’ grownups but end up dead. The unconscious of J and Tong-gyu is analysed like below.
    J is an orphan and has eager desire to communicate with others. However, his experiences of abandonment make him narcissist and evil. In addition, he is built as a subject who desires to be imaginary phallus. J earns the support of teenage runaways and enjoys mimicking the system of Symbolic. The corrupted desire for power does not lead him to the symbolic way of grownups, but he slides into Real driven by Thanatos came from narcissism. On the contrary to J, Tong-gyu wants to be an orphan fleeing from complicated family affairs. He regards J as his alter ego and follows him unconditionally. Tong-gyu seems to be fixated on J’s desire. In fact, Tong-gyu has a desire to be ‘a desire of J’. However, after all, Tong-gyu, is disappointed to J who is arrogant and full of vanity. As Tong-gyu comes to realise that J is lack and devoid, finally, he wants to be a self as subject planning to kill J. Nevertheless, he rather feels guilty of murder, fails to mourn, and internalises J deeply in the end. Tong-gyu kills himself at last and becomes stranded in Imaginary.
    As we can see, there are two types of juvenile characters and subjectivation in antigrowth narrative. The first type is the heroic character like J who denies and refuses Symbolic, desires to be a perverse subject and proceeds toward Real. The second type is the tragic character that plans subjectivation him/herself but fails and is caught in Imaginary like Tong-gyu. They have in common that both cannot belong to Symbolic and become ‘adults’, as well as they have differences that they are heading for separate ways ― Real and Imagin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