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하이너 뮐러의 ‘행복신’ 소재 작품 비교연구 1 (Vergleichsstudie zur Thematik des Glücksgotts von Bertolt Brecht und Heiner Müller 1)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1.06
34P 미리보기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하이너 뮐러의 ‘행복신’ 소재 작품 비교연구 1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62권 / 2호 / 151 ~ 184페이지
    · 저자명 : 최은녕

    초록

    뮐러는 ‘브레히트를 비판하지 않고 브레히트를 사용하는 것은 배신’이라고 규정하는 자신만의 기본원칙에 기초하여, 브레히트의 사상을 자신의 문학 창작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삼으면서도, 의도적으로 브레히트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그를 비판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브레히트와 뮐러의 문학 사이에는 서로 유사하면서도, 서로 상이한 상호텍스트성의 관계가 성립된다. 미완성 작품 『행복신의 여행』에서 브레히트는 행복에 대한 가르침을 전파하기 위해 지상에 내려온 행복신이 다양한 인간의 유형들을 만나는 가운데, ‘개인주의적 기쁨에 대한 행복론’을 전하는 자에서 ‘사회주의적 기쁨에 대한 행복론’을 전하는 자로 발전해가는 주인공의 모습을 그린다. 그의 죽음 이후 작곡가 데사우로부터 브레히트의 『행복신』의 퇴고를 부탁받은 뮐러는 원작자의 텍스트를 전제하지만, 자신의 비판적 풍자를 결합시킨 ‘제2의 행복신’을 창조한다. 1950년대에 최초로 작성된 『행복신』의 초안은 여전히 고전적인 극형식의 전통을 준수하는 가운데, 온건한 방식으로 브레히트의 원작품을 풍자한다. 그러나 1975년에 간행된 『행복신』의 출판본은 아방가르드 연극의 색채를 띠는 가운데, 극단적으로 상반되는 맥락에서 브레히트의 원작품을 재해석한다. 브레히트의 오페라가 동독에서 사회주의적 유토피아의 실현을 낙관적으로 묘사한다면, 뮐러의 오페라는 동독의 사회주의적 디스토피아의 현실을 비관적으로 보여준다.

    영어초록

    Heiner Müllers Rezeption des Stückes von Bertolt Brecht basiert auf seinem Grundprinzip, das besagt: Brecht gebrauchen, ohne ihn zu kritisieren, ist Verrat. Mit anderen Worten: Einerseits nimmt Müller Brechts Ideen als Voraussetzung für sein literarisches Schaffen, aber andererseits kritisiert er Brecht, indem er eine absichtliche Distanz zu Brecht hält. Durch diesen Prozess entsteht ein besonderes Verhältnis der Intertextualität zwischen Brechts und Müllers Werken, die einander ähnlich, sondern auch klar voneinander unterschieden sind. Im Opernfragment Die Reisen des Glücksgottes beschreibt Brecht, wie der Glücksgott als die Hauptfigur dieser Oper vom Missionar der Glückslehre vom individualistischen Vergnügen zum Missionar der Glückslehre vom sozialistischen Vergnügen umgestaltet wird, indem er für die Verbreitung der Lehre über das Glück auf die Erde kommt und danach verschiedenen Arten von Menschen begegnet. Nach dem plötzlichen Tod Brechts wurde Müller von Paul Dessau beauftragt, das unvollendete Manuskript der Brechtschen Oper auszuarbeiten. Er geht dabei zwar vom originalen Text des Autors aus, schafft aber ‘einen zweiten Glücksgott’, der mit Müllers eigenen kritischen Satire kombiniert wird. Der erstmals in den 1950er Jahren verfasste Müller‘sche Entwurf des Glücksgotts hält sich weiter an die Tradition der klassischen Dramenform und parodiert das Originalwerk Brechts, jedoch in gemäßigter Weise. Die im Jahre 1975 erschienene Textfassung ist ein Werk, das in das Originalwerk Brechts von einem äußerst divergierenden Standpunkt aus eingreift. Diese Fassung kritisiert den Ansatz des ursprünglichen Textes radikal, indem sie mit der Tradition der klassischen Dramenform bricht. Während die Brecht‘sche Oper die Realisierung der sozialistischen Utopie in der DDR in optimistischer Sicht vorausnimmt, berichtet die Müller‘sche Oper von der Realität der sozialistische Dystopie unter einer pessimistischen Perspek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독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