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계적 자아의 실체, 이동하는 주체의 가능성—「널 위한 날 위한 너(2017)」를 중심으로 (The Reality of the Vigilant Self, The Identity of the North Korean Woman —Mainly on Mia Chung "You for Me for You"(2017))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1.06
20P 미리보기
경계적 자아의 실체, 이동하는 주체의 가능성—「널 위한 날 위한 너(2017)」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85호 / 5 ~ 24페이지
    · 저자명 : 권미란

    초록

    이 논문은 한국 연극에서 탈북자를 다루는 방식과 그 의미적 표현 양상에서 드러난 개인의 정체성 문제를 다룬다. 탈북자는 한국과 한국인의 정체성을 논의케 하는 존재로, 국내외 연극의 주요 소재로 다뤄지고 있다. 연출가 박해성이 이민 3세대 작가 Mia Chung 미아 정의 작품 <you for me for you(2015)>을 번안해 공연한 <널 위한 날 위한 너(2017)>는 두 자매의 일상을 무너트린 국가 권력의 폭력성과 자본주의 논리를 탈북자가 겪은 고난과 시련으로 그려내며, 사회적 경계와 불평등 문제를 인류사적 차원에서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탈북은 고향상실이라는 심적 고통과 함께 육체의 침탈과 위협이라는 실증적 공포로 자연스레 ‘죽음’과 이어진다. 그래서 탈북자는 가치관의 변화와 정체성 혼란이란 이중의 고통을 또 다른 생존위기로 인식한다. 두 자매는 인간성 훼손과 함께 가족공동체마저 도구화하는 부정한 ‘국가 권력’의 만행에 시달리다 국경을 넘는다. 자매는 사회적 돌봄과 보호를 기대할 수 없는 국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새로운 사회 체제에 빠르게 순응하고 서로를 구원하기 위해 자기를 희생한다. 자매의 자기희생은 여성의 상호적 연대를 상징하며 그들을 가족 붕괴, 빈곤, 강제 이주라는 극한의 생존환경을 극복한 강인한 주체로 형상화한다. 그래서 국경은 주체의 의식변화를 보여주는 심리적 공간으로, 가족과 고향을 상실한 채 한국적 디아스포라로 살아가는 그들의 모습을 구체화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 of individual identity revealed in the way North Korean defectors are treated and their semantic expressions in South Korean plays. North Korean defectors are the main subjects of South Korean and South Korean dramas. Director Park Hae-sung's "For You (2017)" is a remake of Mia Chung's "You for Me for You (2015)". The work depicts the violence and capitalist logic of state power that broke down the lives of the two sisters as hardships and trials experienced by North Korean defectors, and deals deeply with social boundaries and inequality at the human historical level. North Korean defectors naturally lead to "death" due to the mental pain of losing their hometown and the empirical fear of physical invasion and threat. Therefore, North Korean defectors perceive the double pain of changing values and identity confusion as another survival crisis. The two sisters cross the border after suffering from the atrocities of "state power" that undermine humanity and even instrumentalize the family community. The sisters sacrifice themselves to quickly adapt to the new social system and to save each other in order to escape the border where they cannot expect social care and protection. The sisters' self-sacrifice symbolizes the mutual solidarity of women and embodies them as strong subjects who overcome the extreme survival environment of family collapse, poverty and forced migration. Thus, the border is a psychological space that shows the change in the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embodying their appearance as a Korean diaspora, losing their family and homet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