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용학의 『圓形의 傳說』에 나타난 냉전기의 주체 분열 양상 (The Aspects of the Subject Split in the Cold War Era Revealed in Jang Yong-Hak’s Legend of the Circularit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6 최종저작일 2022.04
37P 미리보기
장용학의 『圓形의 傳說』에 나타난 냉전기의 주체 분열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68호 / 451 ~ 487페이지
    · 저자명 : 김성은

    초록

    이 연구는 장용학의 『원형의 전설』에 나타난 인간 주체의 분열 양상을 한국전쟁 및 냉전 체제와 관련시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전쟁은 남북한에서 각기 강력한 반공․반미 이데올로기를 작동시키는 동인이 되었고, ‘자유’와 ‘평등’은 국가 권력을 유지하고 국민을 동질적인 주체로 통합하기 위해 정치적으로 재맥락화되어 자본주의 및 공산주의를 뒷받침하는 이분법적 개념으로 분절되었다. 이러한 한반도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담아낸 『원형의 전설』은 한국전쟁을 내전이 아니라 세계적 냉전의 산물로 파악하고, 전후 한반도를 지배한 냉전 이데올로기의 허상을 들추어 당대의 국민이 경험해야 했던 주체의 분열 양상을 포착해낸 작품이다.
    중심인물 ‘이장’이 친부를 찾고 자기 존재의 의미와 역사를 탐색하는 과정은 인간을 규정하고 억압하는 한반도의 대타자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장’은 끝내 사회의 집단적 정체성에 종속된 주체이기를 거부하고 체제 밖을 지향하는 이방인으로 남게 된다. 이러한 서사는 주체가 기존 질서의 기원과 바탕에 물음을 던지는 히스테리 담론 형식을 취한다. 국민을 동질화하는 지배 담론에 동화되지 못했던 자들의 영역, 즉 냉전 체제의 잉여 지대를 형상화하여 냉전기 한국 사회의 균열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다. ‘이장’은 자신의 본래적 욕망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며, 인간을 억압하는 타자의 언술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4차원”의 세계를 구상한다. 그것은 인간을 인간으로 규정하는 “인간적”이라는 개념을 폐기하고, 이분법과 같은 상징적 질서로써 왜곡되지 않은 본래의 “인간”을 지향하는 세계다.
    인간의 자유에 대한 치열한 문제의식을 일깨우는 『원형의 전설』의 서사에는 일체의 강권과 억압에 저항하는 아나키즘적 정신이 담겨 있다. 『원형의 전설』은 합리라는 명분하에 강요되어 온 지배 담론과 제도의 이면을 포착하고, 인간 주체의 자율성에 대한 논의와 각성을 필요로 했던 냉전기의 문제의식을 문학적으로 승화한 작품이라는 것이 본고의 결론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lit aspects of human subject in Jang Yong-hak's Legend of the Circularity in connection with the Korean War and Cold War system. The Korean War became a factor in the operation of a strong anti-communist and anti-American ideology in the south and north Korea, respectively. Freedom and equality were politically recontextualized to maintain state power and integrate the people into homogeneous subject, and were segmented into dichotomous concepts supporting capitalism and communism. Legend of the Circularity, which critically captures the re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identifies the Korean War as a product of the global Cold War, not a civil war, and it is a work that captures the split of the subject that the people of the time had to experience by revealing the illusion of the Cold War ideology that dominated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war.
    The process of the central character, ‘Lee Jang’ finding his father and exploring the meaning and history of his existence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identifying the big other on the Korean Peninsula that defines and suppresses humans. ‘Lee Jang’ eventually refuses to be a subordinate subject to the collective identity of society and remains a stranger aiming outside the system. These narratives take the form of hysterical discourse in which the subject asks questions about the origins and basis of the existing order. It was intended to show the cracks in Korean society in the Cold War era by shaping the realm of those who could not be assimilated into the dominant discourse that homogenizes the people, that is, the surplus zone of the Cold War system. ‘Lee Jang’ moves in the direction of pursuing his original desire and conceives a world of “the fourth dimensions” that can be liberated from the words of the other that suppress humans. It is a world that abolishes the concept of “humane” defining humans as humans and aims for the original “human” that is not distorted by symbolic order such as dichotomy.
    The narrative of Legend of the Circularity, which awakens the fierce awareness of human freedom, contains an anarchistic spirit that resists all power and oppression. This paper concludes that Legend of the Circularity captures the backside of the ruling discourse and institution that has been forced under the pretext of rationality and sublimates the critical mind in the Cold War period demanding discussion and awakening of the autonomy of human subjects in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