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냉전기 일본의 ‘메이지 vs 전후’ - 1960년대 경제내셔널리즘의 대두 - (‘Meiji vs Postwar’ of Japan during the Cold War – the rise of economic nationalism in the 1960’s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6 최종저작일 2019.06
33P 미리보기
냉전기 일본의 ‘메이지 vs 전후’ - 1960년대 경제내셔널리즘의 대두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思想 / 36호 / 131 ~ 163페이지
    · 저자명 : 이경희

    초록

    다케우치 요시미는 1960년대 논단의 과제로 ‘메이지유신 백년제’론을 제창했다. 소외된 ‘민족’의 관점은 ‘과격한 내셔널리즘’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서구파와 일본파가 대치 구도 속에서 내셔널 이슈를 선취해야 한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메이지유신 백년제’론은 1960년대 미제 ‘근대화’론과 조우하며 ‘근대=메이지’ 만들기, 나아가 근대화에 성공한 메이지 붐으로 전개됐다.
    또 그것은 미일 냉전 공간의 비균질성을 가시화했다. 미국의 동아시아연구기관 그 자체였던 태평양문제조사회(IPR)는 ‘아시아・내셔널리즘’을 의제로 한 러크나우회의(1950) 이후, 매카시즘의 공격을 받던 끝에 해산했다(1961). 중국에 우호적이던 IPR이 소멸하자 미국의 아시아연구는 일본에 우호적인 아시아연구협회(AAS)의 몫이 됐다. 반면, 일본에서의 IPR(‘아시아・내셔널리즘’)은 ‘메이지유신 백년제’론으로 명맥을 유지하며 AAS(‘근대화’론)와도 내적 연속성을 지닐 수 있었다.
    1960년대 논단을 찾은 것은 ‘메이지 100년’보다 ‘전후 20년’이 먼저였다. ‘종언’과 ‘허망’으로 거듭 부정됐던 ‘전후’가 소환되면서, ‘메이지유신 백년제’론은 ‘메이지 vs 전후’의 대립국면으로 들어섰다. 마침내 ‘메이지 100년’을 맞게 됐지만 다케우치가 우려했던 ‘과격한 내셔널리즘’은 보이지 않았다. ‘근대화’론과 고도경제성장의 지적・물적 지원사격 속에서 일본은 경제내셔널리즘에 의거해 국민국가의 기반을 다져갔던 것이다. 그만큼 경제내셔널리즘의 대두는 내셔널 이슈의 선취라는 다케우치의 사상적 시도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검증을 지연시켰다.

    영어초록

    The ‘Centenary Anniversary of Meiji Restoration’ discourse was suggested by Takeuchi Yoshimi, as an agenda for the Japanese academic community in 1960s. He argued that the perspective of alienated ‘people’ may lead to ‘ultra-nationalism’ and both pro-Western and pro-Japanese factions should preemptively choose national issues as a common task to pursue.
    However, the ‘Centenary Anniversary of Meiji Restoration’ discourse was integrated with ‘modernization’ originated from the United States and turned into a success story of Japan, which put stress on the achievement of Japan in the modern era. The integration of the ‘Centenary Anniversary of Meiji Restoration’ discourse and ‘modernization’ showed the heterogeneity characterizing the intellectual landscape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cold war.
    Also, the ‘Centenary Anniversary of Meiji’ discourse was related to another demand of the times. The Economic White Paper in 1956, presented ‘transformation(近代化)’ as a new requirement of the national economy putting an end to the ‘postwar’ era. The theory of ‘modernization(近代化),’ introduced in 1960s, became an intellectual engine to drive the Meiji era, as foundation for Japan as it is today. Meanwhile, in the mid-1960s, some intellectuals recalled the ‘postwar,’ negated by the viewpoints of the era being ‘ended’ and ‘disillusioned.’ This put the ‘Centenary Anniversary of Meiji’ discourse into new perspective, where ‘Meiji’ and ‘Postwar’ were confronted with each other. 1968 came, but ‘ultra-nationalism’ could not be foun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is was the result of Takeuchi’s intention being accomplished, which is preemptively choosing national issues. It was in the course of nature that Japan in 1968, which found a way out, both from the intellectual and material perspectives in the views of ‘modernization’ theory, ‘postwar disillusionment’ discourse, and ‘rapid growth,’ turned toward ‘economic nationalism’ instead of ‘ultra-nation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思想”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