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결정의 공포에서 숭고한 공포로―식민지 조선 공포 서사의 분화과정 연구― (From Undecided Fear to Sublime Fear―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Horror Narrative in Colonial Korea―)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11
42P 미리보기
미결정의 공포에서 숭고한 공포로―식민지 조선 공포 서사의 분화과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89호 / 325 ~ 366페이지
    · 저자명 : 김지영

    초록

    한국의 오락적 공포물이 본격적으로 출발한 것은 1927-1930년 『매일신보』에 마련된 괴담란이었다. 『매일신보』의 괴담란은 귀신, 도깨비라는 초현실적 대상에 의거하여공포물을 시도했고, 전래 이야기와 당대의 경험담을 병치하면서 구성되었다. 기자 가족의 견문이나 독자층의 투고라는 수평적인 시선에서 펼쳐진 발아기 『매일신보』의 괴담들은 주술과 과학의 어느 쪽도 승인하지 못하는 미결정의 공포감을 조장하면서, 근대와 전근대에 대한 양가적 저항감을 노출했다. 공포물이 귀신, 도깨비 등 소재의 기이성에 의존하는 쪽으로 진전되면서, 괴담란을 구성하는 미디어의 주체들은 귀신⋅도깨비의 사실성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마련해야 했다. 이때 설명하기 어려운 초현실적 경험에 대한 거리화 욕망은 괴담을 과거의 이야기로 화석화하는 논리를 통해 현존의안정감을 확보하려 했다. 괴담이 전근대의 시간성과 밀착한 것은 논리적이고 이상적인것을 현재의 것으로 전유하고 불합리, 부조리한 것을 과거에 투사하는 근대 知의 자기합리화 작용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우월한 근대의 입지를 확보하는 수직적인 시선속에서 귀신과 도깨비는 선형적인 시간 리듬의 내부로 안착했고, 괴담은 근대적 삶의주변부를 형성하는 민속의 일부로 정착해 갔다. 대중성을 추구했던 종합지 『조광』은 과거화된 ‘괴담’과 뚜렷히 구별되는 지점에서‘괴기’를 인식하는 위계적 시선 속에서 괴기소설이라는 새로운 양식을 출범시켰다. 자민족의 과거나 현실로부터 거리를 둔 나르시시즘적 우월감과 쾌락적 공포라는 난해한감각에 대한 도전의식 속에서 『조광』의 괴기소설들은 숭고한 공포의 감각을 표현해냈다. ‘괴기소설’에 이르러 식민지 공포서사는 인간 내부에서 존재의 안정감에 균열을일으키는 심연에 주목했고 이를 통해 비로소 주술적인 외적 존재에 의존하지 않고 쾌락적 공포에 대한 대중문화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사의 토대를 마련했다. 그러나 식민지 괴기소설은 그 출발 지점에서 근대에 대한 식민지 청년의 동경 내부에 숨은 결핍과불안의 감각을 노출했다. 사랑의 광기와 죽음 충동을 소재로 한 『조광』의 괴기소설들은 근대성을 지향하는 존재 내부의 숨은 결여와 이 결여의 충족불가능성을 동시에 표현하면서, 근대성이 실패하는 지점들을 드러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the search of colonial Korean pop culture for he- donistic fear through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between ghost stories and grotesque novels. Korea’s recreational horror genre started with the ghost stories in the Daily Maeil in the 1927-1930. The ghost story of the Daily Maeil was constructed with attemped horror which was based on surreal objects such as ghosts and goblins, and the media juxtaposed traditional ghost stories with contemporary surreal experiences together. The ghost stories of the Daily Maeil in the 1927-1930 promoted an undecided fear that neither witchcraft nor science could approve, since it was not easy to secure narrative stability by grafting the cultural request for grotesque taste with reality in Colonial Korea. As intended horror depended on the oddities of the objects of stories such as ghosts and goblins, the publishing subjects of the media who composed the ghost story had to establish a logical basis for the reality of ghosts and goblins. The desire to streetize the surreal experience that was difficult to explain resulted in fossilizing a ghost story into a story of the past, which was a consequence of securing a sense of rationality of the present. It could be said that the fact that the ghost story adhered to the temporality of the premodern era was the result of the self-rationalization of modern knowledge, which appropriated the logical and ideal as the present and projected the irrational and irrationality into the past. The comprehensive magazine Cho-kwang, which pursued popularity, launched a new style of horror narrative called ‘grotesque novels’ in a hierarchical perspective, which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ast ‘monster stories.’ In the ‘grotesque novel’, the colonial horror narrative focused on the abyss that caused a crack in the stability of existence within humans, which was hardly found in the old ghost stories of the past. Through this, the colonial horror narrative was a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a narrative that could respond to the de- mands of popular culture for hedonistic horror without relying on a magical external existence. Contrary to the fact that the ghost stories pointed to the fossilized past, the grotesque novels aimed at the ideology of the absolute totality of modernity assumed as a time of infinite possibility, but exposed a sense of lack and anxiety hidden in the longing of the colonial youth for the modern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