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인훈 소설 <西遊記>연구 - 주인공 독고준의 욕망과 심리 세계를 중심으로 - (Study on Choi In-Hoon’s novel, Seo-Yu-Gi, focused on the desire and psychology of the Dok Go-Joon.)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4.08
43P 미리보기
최인훈 소설 &lt;西遊記&gt;연구 - 주인공 독고준의 욕망과 심리 세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67호 / 277 ~ 319페이지
    · 저자명 : 박해랑

    초록

    최인훈 소설 <西遊記>는 그의 여러 소설 중 가장 난해한 작품에 속한다. 비사실주의 소설로 기존의 소설과는 다른 중층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는 소설에서 인물에 대한 심리 세계를 매우 치밀하게 서술하고 있다. 특히 주인공의 심리는 그의 행동에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인훈 소설에서 인물들의 성향은 여러 작품에서 반복되거나 연속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작가는 인물들의 사유 세계를 섬세히 묘사하고 있다. 소설에서 주인공은 시대적 가치관과 개인적 가치관의 혼돈 속에서 이성에 대한 욕망을 다양하게 표출하고 있다. 그에 비해 지금까지 인물에 대한 심리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이에 최인훈 소설에서 인물의 심리 연구를 새로운 논의 방법으로 제시하고, 그 소설의 난해성 해소와 연구 범위의 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西遊記>에서 주인공 독고준을 중심으로 그의 욕망과 심리 세계를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문학에서 심리적 상태를 표현하고, 문학연구에 있어 심리를 연구하는 것은 지금까지 중요한 과제가 되어 왔다. 인물의 복잡한 심리를 연구하는 과정은 그 인물 행위의 동기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西遊記>에서 독고준은 이유정의 방에서 나와 자신의 방으로 들어가는 복도의 끝에서 환상 여행을 떠난다. 환상적인 공간 이동을 통하여 독고준은 기억에 잠재된 무의식 세계를 여행한다. 독고준의 여행 목적은 과거 ‘W시의 그 여름날을 기억하는 그녀’를 만나기 위한 욕망의 실현이다. 그녀를 만나기 위해 여행을 강행하면서 그가 깨달은 것은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며, 어머니에 대한 사랑이다. 또한 어린 시절 경험한 자아비판의 상흔은 그 시절의 교실로 돌아가 지도원 선생과 대면함으로써 치유한다. 독고준은 여행내내 자아와 세계의 대립으로 균열이 심화되어 간다. 이러한 균열은 그를 내면세계로 침잠하게 한다. 그러나 반복적인 여행을 통해 내면의 상흔을 치유하고, 현실을 인식하여 자아의 성장을 이룬다.
    독고준은 여행하는 동안 부끄러움을 느끼고, 여행이 끝난 후에도 자신의 행동에 부끄러움을 느낀다. 자신이 한 행동에 대해 반성하고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은 자아가 성장하고,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이다.
    인간은 끊임없이 자아와 세계의 갈등을 빚는다. 자아와 세계가 투쟁과 충돌을 통해 화해의 결실을 이루기도 하지만 다수의 인간은 투쟁과 충돌을 회피하고 내면으로 침잠하여 세계로부터 스스로를 소외시키는 경향을 가지기도 한다. 현실과 당면하지 않고 사회에 대해 스스로 소외시키는 것을 성장의 한 방편으로 보는 것이 불편한 사실이지만, 이렇게 밖에 할 수 없는 현실이 냉정하다. 독고준은 이러한 현실에 살고 있는 회색(灰色)인이다. 그러나 무의식의 환상 여행을 마친 후 자신의 방에서 비오는 창밖을 바라보는 그의 모습은 현실을 직시하고 받아들이려는 노력의 자세로 보인다.
    <西遊記>에서 독고준의 욕망과 심리 묘사는 주인공을 매개로 한 행동의 의미와 심리 체계를 구조화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독고준이 혼돈된 세계에서 자아의 성장과 가치관을 정립해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 작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최인훈 소설의 다양한 분석과 연속성 있는 연구의 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Choi In-Hoon’s novel Seo-Yu-Gi belongs to one of the most abstruse novels. As an unrealistic novel, it consists of multi-layered structures. He narrates psychological realm of the characters very closely. Especially, the state of mind of the protagonist in his behavior works as an important element. The personality of characters in various Choi’s novels appear repeatedly and continuously, and he describes their psyche delicately. Reduced to a chaotic state, the protagonist in the novel expresses his desire for the other sex variously. However, until now, studies on the mentality and psychology of the character have been rare. Therefore, I will present the study on the character’s mentality and psychology as a new argument method, and I’d like to contribute to reduction of abstruseness and expand the study range.
    This study aims at studying on the desire and psychological realm of the protagonist, Dok Go-Joon in Seo-Yu-Gi. It becomes important task to express metal state and to study the mentality in literary researches. A course of study on the complex mentality of the character is very useful to analyze the motivation of the behavior and to explain the meaning.
    Dok Go-Joon in Seo-Yu-Gi. takes a fantasy journey at the end of hall stepping out of the Lee You-Jung’s room. Through moving space, Dok Go-Joon travels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embedded in his memory. The purpose of his travel is to fulfill his desire to meet her. She remembers the summer day of W city. What he realizes is longing for his family and loving for his mother. Also, the scar caused by self criticism in his childhood is healed up by facing instructor in the classroom of the time. The rupture between his ego and world becomes worse through the entire trip. This rupture begins to withdraw to his inner world. However, he heals the scar through the repetitive travel, recognize the reality, and accomplish self- development.
    Dok Go-Joon feel abashed during the trip and still he does after the trip. It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his own identity for him to reflect on his behavior and have shyness.
    Humans always come into conflict between ego and world. Ego and world can bear a fruit of reconciliation, but most humans tend to avoid the struggle, conflict withdraw into the inner world, and isolate themselves from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growth and maturity, it is uncomfortable fact that humans do not face the reality and isolate themselves from the society, but the reality is quite cold and different because people can not do any other things. Dok Go-Joon is “A Gray man” who lives in this reality. However, his image, which looks out the window for rainy days after unconscious fantasy journey, can be seen as an effort to face and embrace the reality.
    Description of Dok Go-Joon’s desire and state of mind in Seo-Yu-Gi can be appraised as structurization of behavioral meaning and psychological system. By looking for the process for Dok Go-Joon to establish self-development and values, I can broaden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is work and provide a framework for various and continuous study on Choi’s nov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