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공잽이 장단의 구성과 연행자의 인식 (The Composition of Samgongjebi Rhythm and The Perception of Performer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1.08
26P 미리보기
삼공잽이 장단의 구성과 연행자의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23호 / 167 ~ 192페이지
    · 저자명 : 정호붕, 손정진

    초록

    이 글은 동해안의 무악장단인 삼공잽이 장단을 중심으로 지옥가염불, 육자 이 세장단의 구성과 차이점을 밝히고 연행자 간의 상반된 인식과 장단의 실체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본고에서는 연행자 간의 상반된 인식들로 인해 기존의 연구물에 나타난삼공잽이 장단과 지옥가염불에 대한 문제점을 바로잡고, 연행자 간의 혼동의 원인을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실제 연행장소에서 녹음된 음원을 채보하여 각장단의 구성을 비교하였고, 여러 연행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그 실체에 접근하였다.
    징을 세 번 친다고 이름 붙여진 삼공잽이는 꽃노래, 등노래, 초롱등노래 등의 반주장단이다. 삼공잽이는 총 2장 구성의 장단으로 초장은 ♩.×8박의 무가와 간주가, 2장은 (♩.+♩.)×2박의 무가와 교대된다. 등노래의 초장은 예외적으로 ♩.×12박의 무가와 ♩.×8박의 간주가 교대되며 징은 간주의 1, 3, 5박에 출현한다.
    장단명이 전해지지 않는 3장 구성의 지옥가염불은 장(章)구성과 징의 점수 등에서삼공잽이와는 확연한 차이점을 가지는 개별 장단이다. 초장은 연주자에 따라 (♩.+♩.
    +♩)×12박 또는 16, 20박 등으로 구연되며 간주는 동일하게 (♩.+♩. +♩)×8박으로연주된다. 2장은 ♩.×8박의 무가와 간주가 교대하고 3장은 삼공잽이의 2장과 음악적으로 같다. 지옥가염불의 초장과 2장의 징의 점수는 네 번으로 간주의 제 1, 3, 5,6박에 나온다.
    육자는 3장구성의 장단으로 꽃노래, 뱃노래 등을 긴 무가로 구연할 경우에 사용된다. 현행 오구굿의 오는 뱃노래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초장은 (♩.+♩.+♩)×12박의무가와 간주가 교대하고 2장은 ♩.×8박의 무가와 간주가 반복된다. 3장은 삼공잽이의2장과 음악적으로 같고 초장과 2장의 징의 점수는 두 번으로 간주 1, 3박에 나온다.
    이 세 장단들에 대한 혼동은 삼공잽이 장단을 지옥가염불 또는 육자와 혼동하는경우, 육자장단을 삼공잽이 또는 지옥가염불과 혼동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혼동들은 세 장단이 동일하게 포함하고 있는 ♩.×8(♩×12)-(♩.+♩.)×2의 구조에서 그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연행자들은 이를 ‘중모리’-‘굿거리형’의 형태로 인식하고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based on Samgongjebi rhythm, Muak rhythm, in the East Coast, investigates the composition of 3 rhythms-Jiokga-yeombul, Yukja and Samgongjebi and their differences; and then studies the directly-opposed perceptions between the performers and the true nature of rhythm. This paper aims to correct the problems regarding Samgongjebi rhythm and Jiokga-yeombul appeared in the precedent studies, due to the directly-opposed perceptions between the performers; and investigate the causes for the confusion between the performers. Thus, the sound source recorded in the place of performance was transcribed; the compositions of each rhythm were compared to each other; and then the true nature was approached through the interview with performers.
    Samgongjebi is named because Jing is struck three times. And,Samgongjebi is accompaniment rhythm for Ggot-norae, Deung-norae, and Chorongdeung-norae. Samgongjebi is rhythm composed in 2 movements in total; in the first movement, ♩.×8 beats Muga and interlude take turns with,and in the second movement, (♩.+♩.)×2 beats Muga and interlude take turns.
    Exceptionally, in the first movement of Deung-norae, ♩.×12 beats Muga and ♩.×8 beats interlude take turns, and Jing appears in beat 1, 3 and 5.
    Jiokga-yeombul consisting 3 movements, whose name of rhythm is not passed down, is an individual rhythm which has distinction from Samgongjebi in the aspect of the composition of the movements and the strokes of Jing.
    The first movement is played in (♩.+♩.+♩)×12 beats, 16 beats or 20 beats;the interlude is evenly played in (♩.+♩.+♩)×8 beats. In the second movement, ♩.×8 beats Muga and interlude take turns, and the third movement is the same as the second movement of Samgongjebi in the musical aspect. The first movement of Jiokga-yeombul and the strokes of Jing in the second movement is 4 times and appear in beat 1,3,5 and 6 of the interlude.
    Yukja is rhythm consisting of 3 movements, and used in case Ggot-norae and Baet-norae are played in long Muga. It is used in Oneun-baetnorae of current Ogugut. In the first movement, (♩.+♩.+♩)×12 beats Muga and interlude take turns, and in the second movement, ♩.×8 beats Muga and interlude are repeated. The third movement is the same as the second movement of Samgongjebi in the musical aspect, and the strokes of Jing in the first and the second movement is two times, appearing in beat 1 and 3.
    The confusion about these three rhythms are caused by the confusion between rhythm and Jiokga-yeombul or Yukja, and the confusion between Yukja rhythm and Samgongjebi or Jiokga-yeombul. The cause of this confusion can be found in structure of ♩.×8 (♩×12)-(♩.+♩.)×2 identically contained in these 3 rhythms and the performers perceive this as ‘Jungmori’-‘Gutguri ty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