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미륵사지 석탑 사리공양품의 보석과 교역 (International Trade and Gems Found in the Śrīa Deposits in the Mireuksa Stone Pagoda of Baekj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6.12
29P 미리보기
백제 미륵사지 석탑 사리공양품의 보석과 교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31호 / 29 ~ 57페이지
    · 저자명 : 신숙

    초록

    전라북도 익산의 백제 미륵사지 석탑에서는 사리장엄구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공양품이 확인되었다. 공양품은 사리봉안 의식에 참여한 사람들이 헌납한 것으로, 평소 귀중하게 간직했던 물품이나 財貨로 추정된다. 그 중에는 수정, 진주, 마노, 옥, 호박과 같은 보석류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기존에 출토된 사례가 거의 없는 진주 800여점이 수습되었고 수정도 62점이 사리호 안에서 발견되어 주목된다. 수정과 진주가 다량으로 석탑에 봉안된 연유와 배경, 그리고 보석의 산출지와 관련한 교역의 상황을 살펴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사리 봉안은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의례 중의 하나이며, 사리를 담는 기물이나 공양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최상의 재료와 기술이 동원된다. 변하지 않는 견고함과 아름다움, 진귀한 가치를 두루 갖춘 보석은 사리구나 공양품을 만드는데 적절한 재료였을 것이며, 미륵사지 석탑의 사리 장엄에서도 중요하게 활용되었다. 진주는 당시 明珠로도 불렀으며,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래전부터 최고의 권위와 신분을 상징하는 보석으로 선호되었다. 석탑의 조성연대인 639년을 고려하면 사리공에서 확인된 진주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이른 시기의 실물 자료로 의의가 크다. 그렇지만 상당한 출토 수량으로 볼 때 이전부터 장식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진주가 언급된 5세기 초반 『三國史記』의 기록을 근거로 찾을 수 있었다.
    진주는 한반도 남부 해안가에서도 산출된 것으로 추측되지만 현존하는 문헌기록과 주변 정황으로 볼 때, 백제시대에는 일본이나 동남아시아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좀 더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유례가 없는 미륵사지의 진주 공양은 후원자인 沙乇 가문의 왕비와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백제의 주요 가문으로 막강한 권력을 가졌던 왕비의 세력이 해양 무역에 관여했을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다량의 진주를 소유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 이해하였다. 武王(재위 600∼641)의 집권 말기, 왕비는 자신의 재력과 권력을 과시하고 향후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며 미륵사를 조성했던 것이다.
    수정은 경상도와 전라도 일대에서 채굴되는 대표적인 국내산 보석이며, 三韓時代부터 수정 가공기술이 발달하였고 삼국시대 불교 미술품의 새로운 재료로 선택되었다. 백수정의 맑고 투명한 재질은 사리병 제작에 활용되었고 자수정과 같이 희소성이 높은 원석은 사리를 대체하는 용도가 되기도 하였다. 수정제 사리병의 제작은 통일신라와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며, 우리나라 사리장엄구의 중요한 특징으로 자리 잡게 된다.

    영어초록

    A variety of objects found with the śrīa deposits in the Baekje-era Mireuksa Stone Pagoda at Iksan in Jeollabuk-do Province have been verified as offerings. These objects are thought to have been offered by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śrīa enshrinement rituals, and appear to be possessions that were highly valued in their lives. They include gemstones like quartz, pearl, agate, jade and amber. Particularly noteworthy are over 800 pearls, which had very rarely been excavated prior to this, and some 62 pieces of quartz separately held inside the gold śrīa reliquary in the shape of a jar along with the broken pieces of inner glass bottle, both of which were contained inside the gilt-bronze, jar-shaped śrīa reliquar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asons and background which led to such large quantities of quartz and pearls being deposited inside the stone pagoda and to consider the conditions of international trade in relation to the gems’ origins.
    Śrīa enshrin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tuals in Buddhism, and thus śrīa containers and offerings were created using the highest-quality materials and skills. Gemstones of timeless strength, beauty and rare value would have been considered appropriate materials for śrīa reliquaries or offerings, and indeed, gems were a crucial part of the reliquary at Mireuksa Stone Pagoda. Pearls, also called myeongju (明珠) at the time, had long since before been favored as gems that symbolized the highest authority and position in both the East and West. The pearls recovered from the Mireuksa Stone Pagoda are the earliest, tangible examples that we know, considering that the pagoda is dated to 639. However, the large quantity of the pearls suggests that pearls could have been used in decorations predating the Mireuksa Stone Pagoda, which is also supported by the records of the early 5th century text in Samguksagi (三國史記,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containing a reference to pearls.
    Pearls were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based on textual records and given circumstances, there is a slightly higher possibility that pearls were brought in from Japan or Southeast Asia during the Baekje period. The offering of pearls at Mireuksa Temple is without precedent, and reviewed in the context of the queen, a member of the Sataek (沙乇) family and a patron of the temple. The queen belonged to one of Baekje’s prominent families and wielded a tremendous amount of power. It is presumed that the Sataek family had the authority to involve themselves in maritime trade, and a focus on that possibility provides the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how such large quantities of pearls came into their possession. The queen built Mireuksa Temple toward the end of the reign of King Mu (武王, r. 600-641) as a display of her wealth and power while seeking to make a new leap forward.
    Quartz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gems that can be found in Korea, and is mined throughout the Gyeongsang-do and Jeolla-do provinces. Processing techniques for quartz began developing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quartz was newly adopted in decorating Buddhist artworks. The clear and bright quartz commonly known as rock crystal was used to make śrīa bottles, while rare gemstones like amethyst were used as substitutes for śrīa. The production of quartz śrīa bottles continued throughout the Unified Silla, Goryeo, and Joseon periods and established itself as a significant feature in the tradition of Korea’s śrīa reliqua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