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극학에서 공연학으로 (Du 'theatre studies' au 'performance stud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09.12
42P 미리보기
연극학에서 공연학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31호 / 71 ~ 112페이지
    · 저자명 : 김효

    초록

    포스트모던의 시대에 즈음하여 연극과 연극학은 해체되어 가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공연(performance)이란 개념어와 공연학(performance studies)이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은 우선, ‘연극’이란 용어에 함축되어 있는 연극사적인 함의를 살펴봄으로써 탈근대로 지칭되는 현대의 담론 공간에서 그것이 해체되어가는 과정과 이유를 고찰하였다. ‘연극’으로 번역되는 ‘theatre’는 르네상스와 함께 등장한 용어로서 근대 기획의 소산이다. 따라서 연극 담론의 장에서 탈근대의 장은 근대의 기획의 소산물인 ‘연극’이라는 범주의 해체에 의해 시작된다. ‘연극’이란 범주를 해체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가능하다. 우선 가장 급진적인 방식으로는 ‘연극’이란 범주의 전면적인 해체가 가능하다. 즉 ‘연극’이란 용어 자체를 폐기 처분하고, 다양한 공연예술을 동등하게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용어를 창안하는 것이다. 즉 신조어로 대체하는 방법이다. 보다 온건한 방식으로는 용어 자체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그 내용을 재규정하는 방법이 그 하나이다. 바꿔 말해서, 개념의 그릇은 그대로 존속시키면서 개념의 내용을 갈아 넣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바, 후자의 방식으로 연극의 범주를 해체하는 논자로서 아르또와 유제니오 바르바가 있으며, 전자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논자로서 쉐크너를 들 수 있다. 아르또는 동양연극의 원리가 서구의 근대연극과 완전히 다르다는 점을 보여 줌으로써 근대에 보편적인 예술현상으로 정위된 ‘연극’의 허구성을 폭로하였지만 궁극적으로 ‘연극’이라는 용어를 부정하지 않고 그 ‘속(double)’에 근대적인 연극과 '다른 것을 함께 채워 넣는 방식(doubler)'으로 연극을 재정의 하였다. 반면 바르바는 동/서양의 연극을 동등하게 포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극’이란 용어를 새롭게 정의한다. 결국 쉐크너가 ‘연극’이란 용어를 해체하고 다양한 공연형식을 동등하게 포괄할 수 있는 대안적인 용어로 ‘퍼포먼스’를 내세우게 되면서 연극과 연극학은 해체에 직면하기에 이르고, 그 대안으로 대두되는 ‘공연(퍼포먼스)’과 공연학의 등장은 ‘연극중심주의’의 종식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L'anthropologie a été née comme ombre de la science humaine qui date de la Renaissance. La science humaine est fondée sur la littérature. Par contre l'anthropologie étudie l'homme en se référant aux autres que la littérature: les images, les symboliques, le langage oral et le corps etc. S'approcher du théâtre à la méthode anthropologique tout d'abord signifie de se référer au langage "matériel" pour analyser le théâtre. Donc l'anthropologie possède la virtualité la plus forte d'engendrer le discours postmoderne parce qu‘elle tient des sources de déconstruire la conception du théâtre littéro-centrique. Mon article a révisé trois cas différents qui ont actualisé au niveau de méta-discours du théâtre la virtuatilté postmoderne impliquée dans l'anthropologie. Ce sont Antonin Artaud, Eugenio Barba, Performance Studies de Richard Schechner.
    Dans le domaine du théâtre, le postmoderne s'ouvre par la déconstruction du terme "théâtre" qui est produit par le projet de la modernisation. Il y a deux méthodes pour déconstruire le terme du théâtre. L'un est d'abolir le terme même et de créer un néologisme qui peut s'approprier également aux arts spectaculaires variés. L'autre est de ne pas cesser d'employer le terme même et de redéfinir le contenu du concept. C'est à dire garder le "vaissel" du concept et alterer le contenu du concept. Mon article a dégagé qu'Artaud et Barba ont pris cette dernière voie. Performance Studies de Richard Schechner est le cas représentatif qui a pris la première voie. Mon article a pour l'objet de mesurer à quel niveau le discours postmoderne se développe dans le domaine du méta-discours du théât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드라마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