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撤供撤市 연구 (A study of Stop payment necessities and Market withdrawa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6.04
31P 미리보기
撤供撤市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53호 / 201 ~ 231페이지
    · 저자명 : 김강일

    초록

    임진왜란 이후 조선정부는 일본인의 상경을 금지시켰으며, 조선정부의 비용으로 동래부에 왜관을 마련해 주고 쓰시마 사신과 상인들이 거처할 수 있게 하였다. 왜관에는 관수옥(館守屋)을 중심으로 비교적 장기 체류자들이 거처하는 동관(東館)과 단기 체류자들이 거처하는 서관(西館) 등 각종 건물이 있었고, 넓이는 10만여 평 정도였다. 왜관은 조선에 파견된 쓰시마 사신과 상인들이 업무가 끝날 동안 조선정부의 배려와 통제 아래 임시로 체류를 허가받은 특별한 장소이며, 이들과 조선의 역관・상인 등이 일상적으로 접촉하면서 갖가지 사건이 수시로 발생했던 곳이다.
    왜관에서 흔히 일어나는 사건으로는 절도・강도, 폭행, 일본인이 왜관 밖으로 무단히 나가거나[闌出], 동래부 주민이 금령을 어기고 왜관으로 잠입하여 매춘을 하는 것[交奸], 잠상[潛商, 밀무역] 및 왜채[倭債, 밀무역 자금]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양국인의 마찰이 발생했고, 해결 과정에서 다툼이 일어나거나 왜인들이 단체로 행패를 부리기도 했으며, 살인사건으로 번지기도 하였다. 조일 양국 사이에 외교나 무역상의 문제가 발생하면 동래부 소속의 왜학역관(倭學譯官)이 왜관으로 들어가서 협의한 후 처리하는 것이 정상적인 절차였다. 그러나 왜관 거주 왜인들은 동래부에서 요구대로 문제를 처리해 주지 않으면 금령을 어기고 왜관 밖으로 뛰쳐나와 무력시위를 벌이는 일이 자주 있었고, 때로는 동래부까지 몰려가서 동래부사를 상대로 항의하기도 하였다.
    조일 양국인의 접촉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의 처리를 둘러싸고 대립이 생겼을 때, 조선이 왜관측을 가장 효과적으로 압박하는 수단은 철공철시(撤供撤市)였다. 조선의 요구에 왜관측이 응하지 않을 경우, 왜관에 지급하는 생필품[雜物] 지급을 중단하는 왜관 통제 방법이 철공이며, 한 달에 6회씩 열리는 조일 간의 국제무역[倭館開市]을 열지 않는 것이 철시이다. 조선정부는 왜관 체류자들의 직급에 따라 주식과 부식, 땔감 등을 무상으로 지급했는데, 이와 같은 생필품 지급을 중단하면 왜관의 일상생활이 곤란해지는 형편이라 조선 측의 요구에 응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철시는 대일 수출품을 통제하여 쓰시마번을 압박하는 왜관 통제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조선산 쌀이 건너오지 않으면 번(藩)의 경제 전체가 흔들릴 정도로 조선에 의지하고 있던 쓰시마의 입장에서 결국은 조선의 요구대로 사태를 해결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철공철시를 단행하게 되는 동기는 다양하다. 구타사건이 발생한 경우, 난출, 교간사건, 밀무역 사건 등이 일어나면 동래부사는 일단 철공 또는 철시를 단행하고 장계(狀啓)를 올려 비변사에 보고하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 대부분이다. 변정(邊情)과 관련하여 철공철시를 단행했던 대표적인 사례는 고종 9년(1872) 9월 하나부사(花房義質) 일행이 화륜선 2척에 군대를 태우고 와서 서계(書契) 접수를 요구했던 사건이다. 하나부사는 자신이 메이지 신정부의 대표임을 밝히고 새로운 외교 교섭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동래부사는 훈도・별차를 통하여 이를 거절하였고, 에도 관원(江戶官員, 메이지정부 관리)과 화륜선은 속히 철거하도록 명하고 왜관에 대하여 철공철시를 단행하였다. 하나부사 일행은 별 수 없이 체류 수 개월만에 귀국하였다.
    동래부사의 장계가 도착하면 비변사에서는 사안을 심의하여 신중하게 철공철시의 당부를 결정하였다. 심의 과정에서는 상국(上國)으로서의 위엄과 왜관 통제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특히 조일 외교에 미치는 파장까지 고려하여 철공철시 여부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철공철시를 단행할 때 그 대상은 왜관에 체류 중인 쓰시마번의 역인들 전체일 때도 있고, 문제를 일으킨 당사자만 공물(供物) 지급을 중지하는 경우가 있었다. 어느 경우이든 관수는 왜관을 통제해야 하는 책임자로서 철공의 대상이 될 때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때의 철공철시는 왜관 통제라는 목적보다 징벌로서의 성격이 강했다.
    철공철시의 중지는 사료상 명확한 기록이 없으며, 『경국대전』 등의 성문 법전에도 철공철시의 개시 요건에 관한 규정은 없다. 왜관을 통제하는 동래부사의 장계에 의하여 철공철시가 시작되듯이, 철공철시의 중지 역시 국왕이 비국 당상을 인견하는 자리에서 당상들의 건의를 참작하여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철공철시 기간도 일률적이지 않으며,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다가 적당한 시기에 당상관이나 동래부사의 건의로 철공철시를 중지하였다.
    조선어통사(朝鮮語通詞)로 왜관에 파견되어 다년간 근무했던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는 그의 저서 『交隣提醒』에서 “철공철시는 쓰시마번 사람들한테는 어린애의 젖을 끊는 것과 같은 것이다”라고 언급한 바가 있다. 이처럼 철공철시는 일본과 통교를 재개한 이후부터 메이지유신 직후까지 동래부가 가장 유용하게 활용했던 대일 통제수단이었으며, 쓰시마번 내지 왜관측이 가장 우려했던 상황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Since the Korean government has bann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Japanese to Seoul, giving arrange Waegwan in dongraebu the cost of the Korean Government was able to Tsushima envoys and merchants to be abode. Waegwan has Kanshu-house[館守屋, shelter cum office of the Head of Waegwan Kanshu(館守)] centered east to ryuja their abode while a relatively long building[東館] and short-term residents are dwelling west of the building[西館] etc. There were various buildings, the area was about 10million Pyeong(one of the current Yongdusan Park, Busan).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there are approximately Waegwan was identified as 400-500 inhabited by people of Tsushima. Waegwan is the Tsushima envoys and merchants to a special place received work permits to stay in temporary care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hosun government in the end, these and Chosun interpreter, traders, etc. all kinds of accidents often occur while routinely contact dispatched to Chosun It is where.
    A commonly occurring events in Waegwan is in violation of theft, robbery, assault, Japanese thoughtlessly out or outside Waegwan[闌出], dongraebu resident decree to sneak in Waegwan to prostitution[交奸], smuggling[潛商] and Waechae[倭債, smuggling funds] gives the fric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caus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 dispute arose or were they also sing the Japanies violence to work in groups, and prayed to address the murder.
    When a problem of foreign traders or between Chosun and Japan Waehakyeokgwan(倭學譯官, Japanese interpreter) of the Department dongraebu was not normal procedure for processing after consultation went into the Waegwan. But they Tsushima living in Waegwan breaking the ban does not handle the issue well dongraebu, and ran out frequently staged armed demonstrations. Sometimes go flocking to dongraebu protested against Dongnaebusa.
    The problems that the Chosun government was worried by installing the Waegwan control measur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face of the mistrust and wariness it can be attributed to the more in-depth Japanese. Therefore, when you install from Waegwan provide a variety of control devices and regulating've Waegwan, build a fence installed since 1607 Dumopowaegwan[豆毛浦倭館], Waegwan was isolated and the community. Namely delimiting Waegwan Chosuns are not allowed to abuse or Waegwan, Waegwan residents were arbitrarily is the physical and legal control, including with respect to the two countries to prevent the entry Waegwan leaving the. Hyojong four years(1653) to include trade in Waegwan were forbidden to trade freely enter each room in Waegwan, random characters into each room was to enter into a treaty with smuggling offenses[潛商].
    Moved to Choryang[草粱] waegwan following year, 1679, the laying out prohibition signs[禁標] in Waegwan North, South, East and West were to prevent unauthorized ways beyond the border without passports are Tsushima residence in Waegwan. In previous studies such physical facilities, such as how to install the stone walls around Waegwan or appointed to regulate the parents promised to Tsushima a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unction as Waegwan control policy.
    Chosun and Japan have had conflicts with the occurrence of events, when a conflict arises from their work, Chosun wa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pressuring Waegwan Cheolgong-Cheolsi[撤供撤市, Stop payment necessities, Market withdrawal]. If the Chosun requirements but did not respond waegwan, Waegwan control measures to stop the necessities[雜物] payments paid in Waegwan is a cheolgon, It is not open to Cheolsi held six times open international trade[倭館開市] between Chosun and Tsushima month. The Chosun government had paid in shares and corrosion free, firewood, etc., depending on the grade of Waegwan immigrants, and could not respond to such a request if you stop paying the necessities of daily Chosun Government as life becomes difficult circumstances in Waegwan. Cheolsi can be called Waegwan control how to control the pressure to export to Japan Tsushimahan. Especially if the rice production in Chosun enough to cross the entire economy shaken in the Tsushimahhan position was dependent on Chosun finally solved the situation as required by Chosun.
    Motivation to decisively Cheolgong Cheolsi varies. When the beating incident, Waegwan unauthorized entry, prostitution incidents, such as smuggling incidents occur, Dongraebusa first is that most decisively Cheolgong or Cheolsi and go through the procedure to put the report to see the Bibeonsa[備邊司, Border Defense Council of Chosun]. Typical examples were shuffled cheolgong cheolsi with regard to the frontier situation[邊情] is a case where King Gojong nine years(1872) September Hanabusa[花房義質] came companions carrying troops to two steamers requirements diplomatic documents [書契] accepted. Hanabusa himself says that the representative of the Meiji new government and demanded a new diplomatic negotiations. But Dongraebusa was refused by the Hundo・Byeolcha[訓導・別差, Korean interpreter], were ordered to the Meiji government officials and warships are dismantled quickly and decisively against Waegwan Cheolgong Cheolsi. Hanabusa companions were returning to stay only a few months helplessly. If the report is the arrival of the Border Defense Council of Joseon dongraebusa to deliberate on the case it was carefully determine the right and wrong of cheolgong cheolsi. In the process of deliberation focused on The Powers[上國] of dignity and control Waegwan. Especially taking into account impact on the Japanese diplomacy seems determined whether Cheolgong Cheols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