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조선 건국 신화의 곰 화소와 민족기원론 (The Bear Motif in the Founding Myth of Gojoseon and the Theory of National Origi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3.05
36P 미리보기
고조선 건국 신화의 곰 화소와 민족기원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80호 / 95 ~ 130페이지
    · 저자명 : 전진국

    초록

    근대 일본 학자들은 곰 화소를 주요 근거로 하여 고조선 건국 신화의 역사성을 부정하고 허구성을 강조하였다. 반면, 한국 학자들은 일본인들의 그러한 논조를 비판하고 고조선 건국 신화의 사실성을 모색하고자, 곰의 상징성 및 곰 이야기의 역사성을 깊이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곰은 고조선 시대의 부족을 상징한다는 토템 설이 제시되었다. 나아가 곰을 숭상하며 토템으로 여기는 경향은 시베리아 북방 지역에서 성행하였으므로, 그 지역에서 신석기시대의 주민이 옮겨오거나 그 문화의 영향으로 파악하는 민족기원론이 함께 논의되었다. 고조선 건국 신화 속의 곰을 토테미즘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는 일본인들의 고조선 건국 신화 부정론을 극복하고 역사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그러나 고조선 건국 신화의 곰을 토템으로 파악하고 곰 숭배 사상의 원류가 북방 문화라는 시각이 완벽한 해석이라 하기는 어렵다. 고조선 건국 신화를 비롯한 고대 건국 신화의 전반적인 맥락은 천신과 지신의 만남에 의한 건국 시조의 탄생이라는 구조이다. 그리고 다른 유형의 단군신화에 비교해 볼 때 곰에 해당하는 존재 역시 신격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삼국유사』에 수록된 고조선 건국 신화의 곰 역시 지상의 신을 상징화한 존재로 보아야 하겠다.

    영어초록

    The bear motif of the founding myth of Gojoseon(古朝鮮) was the main argument for modern Japanese scholars to deny the historicality of the myth and emphasize its fictionality.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riticize the Japanese's arguement and to reveal that this myth reflects the facts, Korean scholars have examined the symbolism and historicity of the bear and its story. In the process, a totem theory was suggested that the bear symbolizes the tribe of the Gojoseon period. Because the trend of venerating and considering the bear as a totem was prevalent in northern Siberia, so the theory of national origin was also discussed that residents moved from Siberia to Gojoseon during the Neolithic period or that culture affected Gojoseon. The study of approaching bear in the founding myth of Gojoseon from the perspective of totemism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overcame the denial of the founding myth of Gojoseon by the Japanese scholars and gave historic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is a perfect interpretation to identify bears in this myth as totems and that the idea of bear worship originated from northern cultur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ancient founding myth, including the founding myth of Gojoseon, is the birth of the founding founder by the meeting of the heavenly god and the earth god. Moreover, compared to other types of Gojoseon founding myths, the beings corresponding to the bear is the Dansusin(檀樹神) or white tiger, which can be called forest spirits or mountain gods. Therefore, the bear of the myth of the founding of Gojoseon recorded in Samgukyusa(三國遺事) should also be regarded as a symbol of the God on Ear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