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설화에 나타난 곰의 문학적 형상화와 여성 - <곰나루>와 <곰과 함께 산 인제현 백성>을 중심으로 (Literary Representations of Bears in Premodern Korea: Focusing on “Story of Bear Ferry” and “A man from Inje Who Lived with a Bear”)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06
32P 미리보기
한국 설화에 나타난 곰의 문학적 형상화와 여성 - &lt;곰나루&gt;와 &lt;곰과 함께 산 인제현 백성&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40호 / 111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유미

    초록

    예나 지금이나 동물은 사람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살아왔으며, 문학을 포함한 예술의 소재로 자주 등장하였다. 특히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곰과 호랑이는 국내·외에서 한국문화의 뿌리와 특징을 소개하는 동물로서 자주 호출되는 동물이다. 이 연구는 한국의 전근대 시기 곰에 대한 역사 기록, 문학작품 및 생물·생태학적 지식의 교차분석을 통해 전근대 한국 곰이 단군을 낳은 성스러운 웅녀(熊女)부터 음란하고 어리석고 모성이 결핍된 여성을 상징하는 존재까지 폭넓은, 때로는 상반되는 여성상을 상징하는 동물임을 밝힌다. <곰나루>와 <곰과 함께 산 인제현 백성>을 포함한 한국 곰 설화는 대부분 암곰을 등장시키고, 암곰의 성기가 여성의 성기와 비슷하다는 묘사, 출산이라는 여성의 독자적인 역할을 곰에게 부여하였다. 이는 곰에 관한 이야기의 분석이 한국의 여성상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두 이야기에서 암곰은 음란하며 어리석고 폭력적이며 모성이 결핍된 존재로 전근대 사회에서 부정적인 여성 및 아내상을 반영한다. 곰은 야생의 동물로서 그 자체로서 선악의 구별이 없는 존재이지만 인간/남성 중심적 시각으로 곰의 행동을 해석하고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였으며 때로는 곰의 생태적 특징과 맞지 않게 왜곡하였다. 두 작품은 전근대 한국이 가지고 있었던 곰에 대한 문화적 인식의 한 부분을 알려주며 더불어 당대 한국 사회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거울로도 작동한다. 한국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곰은 대부분 아시아 흑곰으로 추정된다. 역사 사료는 한반도에 서식하였던 아시아 흑곰이 인간에게 낮은 공격성을 보이고, 공격의 빈도 역시 상대적으로 낮아 두려움과 공포의 주요 대상이 아니었음을 드러낸다. 이러한 아시아 흑곰의 생물학적 및 생태학적 특성은 전근대 한국 사회에서 인간이 가지는 곰에 대한 낮은 공포와 외경(畏敬)을 일부 설명한다. 설화 속 동물의 형상화가 해당 동물의 생물적, 생태적 특징에서만 연유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설화에서 곰이 인내와 헌신의 존재이면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비난과 부정의 투사 대상이 된 데는 이러한 생태적 요인이 기인했음을 짐작하게 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explores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bears in premodern Korea by examining the literary representations of bears focusing on “Story of Bear Ferry” and “A man from Inje Who Lived with a Bear.” Considering the appearances of bears in the Tan’gun myth and as the official mascots of international sports games, one can presume that bears have held positive cultural meanings since ancient times. An analysis of premodern stories, however, tells a different side regarding Korea’s recognition of bears. The “Story of Bear Ferry” and “A man from Inje Who Lived with a Bear” are stories about a man who was caught by a bear and lived with the bear in a deep mountainous area. The stories describe bears as sacred, barbaric, lustful, and frightful female figures that people should avoid. The “Story of Bear Ferry” suggests the moral superiority of humanity and proper female conduct in premodern Korean society. The story of “A man from Inje Who Lived with a Bear” focuses on people’s curiosity of bestiality and the accumulation of wealth. The bear in the story of “A man from Inje Who Lived with a Bear” does not share the same sexual morality as people—exposing its genitals that looked similar to a woman’s; it leads to the man’s curiosity. The story also described in detail how the man enjoyed a wealthy life with the bear and how he gained wealth after the bear died. Sacred features of bear-human relations disappeared entirel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 was perceived as unnatural and unreliable. The bears in two stories possessed “negative” female characteristics of the premodern Korea, including physical strength that made them capable of overpowering men, strong sexual desire, and a lack of maternal instincts. This research reveals that bear has a unique cultural significance in Korea representing diverse images of women including sacred mother, brutal women, and lustful women. The analysis of the descriptions of bears questions the validity of the contemporary image of the bear symbolizing wisdom, patience, and courage. The bears that appeared in Korean historical and literary works were mostly Asiatic black bears. There is segregation between people’s residences and bear habitats, and Asiatic black bears usually avoid encounters with people and run away. The frequency of bears’a attack on people was also much less than that of tigers attacking people. These points affected people’s relative low recognition of bears. These points partially devoted to the trivial and marginalized image of bears in premodern Korean st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