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소제조공장을 위한 제조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모바일 HW 유저 인터페이스 연구 -현장 친화형 웨어러블 골전도 무선이어폰 디바이스의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bile Hardware User Interfaces of a Manufacturing Data Analysis Platform for SMEs -Focusing on Development of Field-friendly Wearable Wireless Osteoporosis Earphone Device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09
13P 미리보기
중소제조공장을 위한 제조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모바일 HW 유저 인터페이스 연구 -현장 친화형 웨어러블 골전도 무선이어폰 디바이스의 개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6권 / 3호 / 115 ~ 127페이지
    · 저자명 : 남민경, 정의태

    초록

    공장 설비에 센서를 설치하여 제조 공정 데이터를수집하고 이를 분석해서 제공하는 제조데이터 분석시스템은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대기업은 이미 이러한 시스템의 도입에 박차를 가하여 제조업 혁신을이루고 있지만, 중소제조공장에 그대로 도입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중소기업 장비는 대기업처럼 대량 생산기록이 쌓이는 것이 아니고 다른 공장의 유사한 기기의 상태 데이터가 빅데이터로 축적되어야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부망이 아닌 온라인을 통한 분석 플랫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 플랫폼은 PC화면을 통한 제공에만 집중되어 있고 모바일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연구는 제조데이터 분석 플랫폼에서 분석된 데이터를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중소기업의 상황을 고려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그에 맞는 HW 인터페이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선행연구 등에 대해 데스크 리서치 후 제조데이터 분석시스템을 정의하였다. 두 번째는 필드 리서치로 중소제조공장의 플랫폼 제조사의 개발자들과 인터뷰를 통해 현재 개발되고 있는 플랫폼의 시스템 구성과 워크플로우에 대한 내용을 전달받았고, 이 플랫폼을 사용하게 될 유저를 유형화하고 각 대상자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필요한 인터페이스의 방식과 이에 적합한 디바이스의 형태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에 대해 제이콥 닐슨의 평가원칙에 따른 관찰 분석으로 휴리스틱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공장 내부의 현장은 소음 및 진동, 안전, 보안 등의 이유로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에 스마트팩토리 환경을 조성할 때 기존보다 효율적인 송수신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필요했다.
    이에 따라 PLC 모니터, 컴퓨터 모니터와 병용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권장하고 웨어러블 형식의 스마트골전도 무선이어폰을 고안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골전도 무선이어폰을이용하면 보다 쉽고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인공지능에 적합한 대화형 인터페이스인 보이스 기반 챗봇을 허브로 사용하여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묻고 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복잡하고 어려운시각화 개념보다 정보 취약계층을 배려한 접근성 높은 사용환경이고, 사용자 유형에 따른 맞춤 정보제공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제조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모바일 HW 디바이스에 관한 연구로 향후빅데이터를 이용한 제조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사용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이를 통해 중소제조공장의 스마트팩토리 정착에 기여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A Manufacturing Data Analysis Platform(MDAP), which collects, analyzes, and provides manufacturing process data by installing IoT (Internet of Things) on facilities and machines in factories, is also one of the components of digital transformation for smart factories. Large enterprise manufacturing plants are already accelerating the introduction of these platforms, but SMEs’ manufacturing plants are still less accessible. As the equipment in SMEs cannot accumulate mass production records like large corporations, it is possible to analyze only when the state data of the same equipment in other plants is accumulated as big data. Data should be accumulated through online, not the internal network. Therefore, various studies related to a common platform for analyzing manufacturing data of SMEs are being conducted. However, this analysis platform is focused only on the provision through the PC screen.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mobil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mobile device that considers the situation of SMEs and a hardware interface suitable for it when providing data analyzed by MDAP to users.
    The method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after researching prior studies, an MDAP was defined. The second is field research, which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system configuration and workflow of the platform currently being developed through interviews with developers of the platform manufacturers in SMEs.
    And we classified users who use this platform. In addition,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user group, a method of an interface required and a device type suitable were derived. Lastly, heuristics were conducted with observational analysis based on Jacob Nielsen’s evaluation principle for the device to be propos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nside manufacturing plants often cannot use smartphones in the factory due to noise, vibration, security, etc., so a wearable device for effici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ddition to a smartphone is needed in a smart factory environment.
    Accordingly, a mobile device is recommended along with a PLC monitor and a computer monitor. And we devised a wearable smart bone conduction wireless earphone and proposed to use it. Wearable smart bone conduction wireless earphones make it easier and more intuitive to use, and a voice-based chatbot, an interactive interface suitabl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used as a hub to ask and answer without specialized knowledge. This method is a more accessible environment that considers information vulnerable groups than existing complex and difficult visualization concept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types.
    This study is a study on mobile hardware devices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MDAP and intends to increase usability when commercializing the MDAP using big data in the future.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a smart factory in S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