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곤재 정개청의 교육활동과 교육론 : 16세기 향교 교관 사례연구 (The Thoughts and Activities of Jeong Gacheong: A Case Study of Hyangkyo Teacher in the 16th Centur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9.12
24P 미리보기
곤재 정개청의 교육활동과 교육론 : 16세기 향교 교관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상연구 / 23권 / 3호 / 393 ~ 416페이지
    · 저자명 : 지정민, 우용제

    초록

    본 연구는 곤재 정개청의 교사로서의 행적을 교육활동과 교육론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교육활동의 면에서 정개청은 초학절요의 저술, 강의계의 결성, 선운사에서의 강학 등 전라도의 은거지사로서 이름을 떨쳤다. 그러한 명성을 바탕으로 그는 1582년에 나주향교의 훈도로 천거되었다. 훈도로 재임하면서 그는 항시적으로 강회를 열고 수수기를 작성하였으며 교학절목을 준행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교육론의 면에서 정개청은 진정한 교육은 도문학과 존덕성의 조화를 통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향교 생활 전반을 엄격한 예제로 규제함으로써, 도문학이 성공하기 위한 기반으로서의 존덕성을 강조하였다. 정개청의 행적은, 자료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16세기말 향교 교관의 하나의 특수한 사례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houghts and activities of Jeong Gacheong as a teacher of Hyangkyo in the 16th century. Jeong Gacheong was recommend as a Hundo(訓導) of the Naju Hyangkyo(羅州鄕校) by a local minister based upon his academic excellence and experiences of teaching. Before he was recommended, he had already wrote Chohak-Jeolyo(初學切要), and played major role in the workshop organized by the local government in 1581. Through these activities, Jeong Gacheong was considered as ‘top leader of Confucianism’ in the Honam(湖南) region. Being a teacher of the Naju Hyangkyo from 1582-1583, he made great efforts to teach students: he wrote a reference book named Susugi(隨手記), he established a strict regulations and rituals in Hangkyo, he let his old disciples lead other students, and sometime he physically punished students who were not to go to Hangkyo. By his passionate contribution, Naju Hyangkyo flourished in his time, but on the other hand the conflicts between him and local groups who despised Hangkyo eventually led him to be exiled in 1590.
    Beyond this activities as a teacher, Jeong Gacheong theorized ideal relationships between the nourishing morality(尊德性) and the inquiring knowledge(道問學). For him, the ideal relationship of the two constructs the very core of educational theory and even Confucianism itself. According to Jeong Gacheong, the nourishing morality is the aim of the inquiring knowledge, and to accomplish this aim, the inquiring knowledge, again, needs the help of the nourishing morality. The strict and complicated rituals in Naju Hangkyo reflects the role of ‘the nourishing morality outside of the inquiring knowledge’. They are justified by the circular relationships between the nourishing morality and the inquiring knowled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