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松谷 李瑞雨의 시세계 일고찰 -을병대기근을 묘사한 재난 관련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f Songgok Lee Seo-woo’s poetic world - Focused on the depiction of Eulbyeong Great Famine(乙丙大飢饉) in 『Songpajip(松坡集)』-)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1.04
36P 미리보기
松谷 李瑞雨의 시세계 일고찰 -을병대기근을 묘사한 재난 관련 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33권 / 129 ~ 164페이지
    · 저자명 : 김효정

    초록

    이 글은 松谷 李瑞雨(1633〜1709)의 문집 『松坡集』에 수록된 재난 관련 시를 통해 을병대기근 시기 재난의 참상과 이에 대한 송곡의 인식 그리고 시의 표출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17세기는 소빙하기로 기상이변이 매우 잦았다. 연이은 흉작은 대규모의 기근으로 이어졌고, 수많은 인명이 희생되었다. 송곡은 근기 남인계열 시맥의 종장으로 당대는 물론 후대까지 문명으로 이름이 높았다. 송곡은 갑술환국으로 인해 정계에서 밀려난 뒤 송파에 은거하며 을병대기근 당시의 참상을 직접 목도하고 체험하며 이를 시로 표출하였다. 을병대기근을 대하는 송곡의 시를 ‘재난 현장의 재현을 통한 慘狀의 전달’・‘부조리한 현실의 고발을 통한 民心의 대변’・‘연민과 공감을 통한 傷心의 공유’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송곡은 을병대기근 시기 백성들이 겪고 있는 재난의 참상을 다양한 시형식과 사실성을 바탕으로 한 시를 창작하여 시대의 아픔을 드러내고 억울한 일이 있어도 제대로 항변하지 못하는 백성들의 처지를 대변하고 위로하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miserable sights of Eulbyeong Great famine(乙丙大飢饉), Songgok’s perception on this disaster and the expression in his poetry through the poems contained in Songgok Lee Seo-woo's literary collection, 『Songpajip』. In 17th century, there were frequent climate changes due to the little ice age. Consecutive bad harvests led to massive famine, and many lives were sacrificed.
    As a founder of poetic line of Near Seoul Nam-in, Songgok was highly respected for his writings not only in his time but also in the latter generation. Songgok was pushed out of politics due to the Gapsulwhanguk(甲戌換局), and lived in Songpa, where he directly witnessed the horrors of the Eulbyeong Great Famine and expressed them in his poems.
    In this article, we will look into Songok's poems dealing with Eulbyeong Great Famine divided into three parts, which are “Revealing the misery through reappearance of disaster sites," "Representation of public sentiment through accusations of irrational reality," and "Sharing of heartbreak through compassion and empathy." In his poetry based on various formats and realism of disaster suffered by people during Eulbyeong Great Famine, We can find out that Songgok tried to reveal the pain of his time, represent and comfort the people who could not properly prot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