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초반 江陵지방 栗谷鄕約의 성격 (The characteristics of Yulgok Hyangyak of Gangneung district in the early 17th centu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3.12
31P 미리보기
17세기 초반 江陵지방 栗谷鄕約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27권 / 71 ~ 101페이지
    · 저자명 : 이규대

    초록

    이 논문은 宣祖 33년(1600)에 강릉지방에서 시행된 「江陵鄕約」을 자료로 삼고, 이 향약이 「海州一鄕約束」의 변용된 사례라는 점을 주목하여, 그 내용과 조직 및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시대적 특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강릉향약」은 壬亂 직후에 시행되면서 지방의 사회질서를 복원하려는 의도가 투영되고 있다. 이 향약은 朱子의 「朱子增損呂氏鄕約」을 체제의 근간으로 삼고 栗谷 李珥가 선조 10년(1577)에 입안한 「해주일향약속」을 <附錄>과 <別條>의 형태로 수용하고 있다는 체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체제는 원론적 의미의 주자향약과 실무적 규정으로서 율곡향약의 조합이었다. 특히 율곡향약의 수용은 율곡과 이 지방 사림들의 인적·물적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것이었으며, 율곡향약의 변용이라는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강릉향약」의 조직과 운영은 율곡향약과 유사한 양상이다. 鄕案에 등재된 鄕員을 구성원으로 하고, 鄕會를 통해 규합되는 公論을 기반으로 지방사회의 자치적 운영질서를 구축하고 있다. 향원 상호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행위와 下民을 침탈하는 행위가 가장 무거운 벌칙으로 규제되며, 城主와 향원들의 의례관계를 관권우위의 질서로 정형화하며, 鄕吏 및 官屬의 민간 작폐와 品官 능욕행위는 留鄕所를 통해 규제되고 있다. 이로서 향원 자신들 중심의 지방사회의 자치적 운영질서를 구축하려는 성향을 지향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강릉향약」에서는 율곡향약에서 강조되는 유향소 결원에 대한 추천권․근면한 향리에 대한 추천권․부세 책정안의 조사권 등에 대한 내용이 배제되었고, 아울러 향회에서는 朝廷과 州縣 政事의 得失에 대한 논의가 일체 금지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자료상의 城主 手決에서 시사되듯 향약시행에 수령권이 크게 작용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향약에서 政務와 敎化가 분리되는 것으로 이 시기 향약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한계로 지적될 수 있으며, 이후 교화 위주의 향약운영을 예고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영어초록

    The main material for this thesis is Gangneung Hyanyak which was written in Sunjo 33(1600). This is noted for the transformation of Yulgok Hyangyak.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system and the content to figure out the periodic character.
    Gangneung Hyangyak had the intention to restore the social order to its original state right after Imran. This had systematic basis on Jujajeungsonyeossihyangyak of Juja. In addition, Haejuilhyangyaksok devised in Sunjo 10(1577) from Yulhok Yiyi was accepted as the appendix and the additional clause. This kind of system was the combination of Juja hyangyak in principal and Yulgok hyangyak as the practical regulation. Especially, the acceptance of Yulgok Hyangyak was based on the human and material network of Yulgok and the community people, which meant the transformation of Yulgok hyangyak.
    The organization and the operation of Gangneung Hyangyak had similarities to those of Yulgok hyangyak. This hyangyak had Hyangwon registered in Hyangan as members. The operation aimed for the autonomous operational order of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public opinion gathered through Hyanghoi. The deed which could cause the conflict between members and plundering the people were controlled by heavy penalties. The formal relationship between Seongju and members was standardized following the government authority order. The Hyangri's evil effects to the people and civilian insult were regulated through Yuhyangso. So it could be said that Gangneung Hyangyak tried to establish the autonomous operational order in the community which was centered on themselves, in harmony with the government authority.
    In spite of these tries, in Gangneoung Hyangyak, the main content that was emphasized in Yulgok Hyangyak was deleted. That is, Yuhyangso and the right to nominate Hyangri and to investigate tax were excluded. Furthermore, in Hyanghoi, the discussion of gains and losses of national and local political affair was prohibited.
    This kind of aspect was because Seongju began to have an effect on the implementation of Hyangyak. It was suggested in the signatures of Seongju from materials. This suggested the separation of government affairs and edification in Hyangyak. This aspect was pointed out as the limit of sustainability of Hyangyak in that period. From then on, Hyangyak has been thought as the advance notice of change toward ed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