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의 율곡 연구- 반동적 관념론자에서 선진적 사상가로 (A study of Yi, Yulgok(栗谷) in North Korea- From a reactionary ideologist to an advanced thinker)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7.12
26P 미리보기
북한의 율곡 연구- 반동적 관념론자에서 선진적 사상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35권 / 7 ~ 32페이지
    · 저자명 : 김윤경

    초록

    1894년 갑오경장과 과거제 폐지, 이후에 ‘조선 성리학’은 제도권 학문으로서의 절대적 지위를 잃었다. ‘지배 이데올르기’라는 위치에서 내려와 새로운 근대 학문과 대조되는 봉건사회의 ‘낡은 가치’를 대변하게 된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사회에서 가장 높은 학문적 위상을 지니고 있었던 율곡학이 일제강점기를 지나 남북한의 분단을 거치면서 어떻게 이해되어 나갔는가를 고찰하는데 있다. 해방 이후 북한의 율곡연구 성과를 다룬 연구는 거의 없었다. 북한자료의 부족, 자료접근의 어려움, 정치적 원인 등이 원인이겠지만, 한 중 일 삼국의 동아시아 담론에서 ‘북한’이 제외되어 있는 학문풍토도 근본적 이유일 것이다. 2000년대 이후 동아시아담론은 급속하게 중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가고 있다. 중국이 유교와 마오이즘을 결부시켜 새로운 ‘중화주의’를 표방하는 가운데, 같은 사회주의 국가인 북한이 북한식 사회주의 모델을 위해 유학을 어떻게 연구하고 있는가를 ‘율곡연구’를 중심으로 규명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강점기의 율곡연구는 세 가지 경향성-서양 철학의 본체론·우주론의 분석 방식에 의한 연구, 제국주의의 부국강병론에 기반 한 연구, 사회주의적 분석에 의한 연구-을 가진다. 둘째, 남한이 일제강점기의 서양철학에 기반 한 율곡 연구방법을 적극 수용하고 발전시켰다면 북한은 부국강병론과 사회주의에 기반 한 율곡 연구방법을 적극 계승하였다. 셋째 북한의 율곡연구는 1967년 ‘주체사상’의 등장,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기’ 2000년대 중반 등 세 시기에 집중적으로 등장하며 이것은 북한이 정치와 학문이 일치되는 사회임을 보여준다. 넷째, 해방 이후 성리학은 ‘중세 동양의 반동 사상’으로 규정되었지만 그 가운데에서도 율곡은 진보적 교육가로 칭송되었고, 후루시초프의 스탈린 격하운동 이후 1967년 주체사상이 마르크스 레닌주의를 하위로 밀어내는 시기에 율곡은 애국애민의 ‘자주국방론자’로 부각되었다. 또한 ‘고난의 행군 시기’ 율곡은 공물과 조세를 개혁한 ‘경제개혁가’로 강조되었고, 2000년대 중반에는 조선시대의 위대한 유산인 전통적 인식론과 인성론을 확장시킨 ‘선진적 사상가’이자 ‘전통적 도덕주의자’로 변모하였다. 다섯째, 2000년대 이후 성리학에 대한 긍정적 논의에는 ‘유교사회주의’ 체제를 통한 북한의 체제유지 열망들이 담겨 있다. 중국이 유교를 신중화주의의 기치 아래 제국의 성장을 위한 발판으로 활용하고 있다면 북한은 삼대세습의 체제 안정을 위해 유교적 가치를 활용하고 그 가운데 율곡의 연구가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study of Yi, Yulgok, who enjoyed the highest academic status in Joseon society, has come to be associated with influencing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dealing with the advancements in Yulgok scholarship since the Korean War. Various reasons -the lack of North Korean data, difficulties in accessing data, problems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etc.- may be behind this lack of studies of Yulgok scholarship. However, there is also an academic climate in which any discussion of North Korea is excluded from East Asian discourse i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Since the 2000s, East Asian talks have rapidly been centering around China. In this study, I examine how North Korea, a socialist country such as China has been developing Confucianism for the purpose of justifying the North Korean socialist model while China has been advocating "Neo-Sinocentrism" by combining Confucianism and Maois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Yulgok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three trends: the study of the analysis which are based on the ontology and cosmology found in Western philosophy, the study of imperialism and the study of socialist analysis. Second, while South Korea has actively accepted and developed the study of Yulgok through maximizing research methods based on Western philosoph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orth Korea has actively proceeded the study of Yulgok based on the theory of enhancing the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of their country and socialism. Third, the study of Yulgok intensively appeared in three periods: the emergence of Juche Ideology in 1967, "March of Suffering" in the mid-1990s and in the mid-2000s. Fourth, Neo-Confucianism was defined as "the reactionary ideology of the Middle Age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reas, Yulgok was praised as a progressive scholar. Furthermore, when Juche ideology pushed down Marx-Leninism in 1967 in North Korea after the De-Stalinization of Khrushchev in the Soviet Union, Yulgok also was reinvented as a politician who was motivated by patriotic ideas such as "the self-reliance of national defense". In the period of "March of Suffering", Yulgok was emphasized as an economic reformer who tried to reform tax systems in the Joseon Dynasty. Since the mid-2000s, Yulgok has been identified an "advanced thinker" who expanded the traditional epistemology and humanism. Fifth, positive discussions on Neo-Confucianism since the 2000s include the desire to maintain the hereditary regime of North Korea through building "Confucian Socialism"system. While China has been using Confucianism as a platform upon which to grow an empire under the value of "Neo-Sinocentrism", North Korea has been using Confucian values ​​to stabilize their hereditary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