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栗谷의 華夷論 認識과 그 展望 (Study reconition on Hwayiron and development of its perspective of Yulgok)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1.08
22P 미리보기
栗谷의 華夷論 認識과 그 展望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중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중인문학연구 / 33호 / 211 ~ 232페이지
    · 저자명 : 유성선

    초록

    본 논고는 율곡의 화이론 인식과 그 전망의 전개이다. 율곡 화이론의 근거는 율곡이 저술한 「箕子實記」를 中心으로 다루었다. 華夷論의 근거는 고대 중국인들이 사회적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론이다. 수천년동안 화이론은 수많은 왕조가 이어지는 동안 동아시아의 국제질서를중국의 유지에 보다 유리한 상황으로 이끌기 위한 문화전략의 수행을 담당한다. 논자는, 화이론은 논란의 여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며, 동북공정의 논리처럼 轉變될수 있다고 여겨진다. 사실 기자가 聖人이며 조선왕이라는 사실은 『사기』 등의 기록을 통해서용인할 수 있지만, 한반도상에서 기자조선을 언제부터 언제까지 통치했는지의 여부와 지정학적인 문제와 사실 여부가 관건이고 논란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고의 목적은 『율곡전서』의「기자실기」를 통해 율곡이 화이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화이론의 성격을 「기자실기」를통해서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사실 단군설화와 기자동래설은 모두 건국신화에서 출발한다. 이 문제는 왕조의 역사성과조선조 통치이데올로기였던 성리학의 체계와 더불어 고찰할 문제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이 문제는 역사적 轉變과 환경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논자는 이 문제의 정리를, 단군신화는 일연이『삼국유사』에서 제시한 것처럼 우리 민족의 역사성을 대변하며, 한민족에 환란이 있을 때마다민족주체성으로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이에 반해 기자동래설과 기자조선은 12C 성리학 수용과 더불어 주자학적 세계관과 명분론으로 조선조에서 작동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의 기자조선의 전망은 한국에서는 사실여부의 문제를 명분과 실리로 대응해야 하고, 중국측이 기자조선의 문제를 동북공정의 논리로 편입하는 문제를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다.
    조선시대의 유학자들은 『논어』와 『사기』 등의 구절을 인용하여 우리나라가 일찍이 동방의예의지국임을 상기시키며 칭송하였다. 이 점은 중화와 이적의 차별성을 논하여 변별력을 제시하고, 군자가 夷狄의 문화를 중화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유학자들에게 기자를 조선에 봉했다는 기록은 당시 유학자들에게 매우 좋은 명분이었다. 또한 「箕子實記」에 근거한 율곡의 화이론 인식은 뚜렷한 역사의식과 민족주체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자의 기자동래설의 근거와 출전이 불분명하고, 중국의 소수민족동화이론 등 현재적 상황이 노정되어 있지만, 여전히 현재진행형임을 밝혀둔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cludes recognition on Hwayiron and development of its perspective of Yulgok. Ground of Yulgok's Hwayiron was dealt with centered on 「Gijasilgi」 written by Yulgok. Ground of Hwayiron is a methodology recognizing social world by ancient Chinese. Hwayiron had served to carry out cultural strategy to lead China toward favorable situation in national order of East Asia for maintaining China which is a complex political community of different races for several thousands of years. Although Hwayiron brought some controversies, Hwayiron is still working and can be changed like logic of China`s Northeast Project.
    It is acceptable through records of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that Gija is a saint and a King of Gojoseon but it would be a key point and controversy - period of Gija Chosun's existence, geopolitical problem,, and their truth. The purpose of his study is to explore how Yulgok recognized Hwayiron, and to investigate character of Hwayiron through 「Gijasilgi」.
    In fact, Dangun tale and Gija's ruling over Gojoseon start from national foundation myth. This matter should be investigated together with Sung Confucianism system which was historicity of kingdom and governing ideology in Chosun. This is because this matter is originated from historical change and environment. The author claims that as Il-yeon suggested in 『Samguk Yusa』,Dangun tale represents our national historicity and appeared as national identity whenever there was historical difficulties in the Korean race. In contrast to this, Gija's ruling over Gojoseon and Gija Joseon worked as the Neo-Confucianism's view of the world and justification together with acceptance of Sung Confucianism in the 12th century. And for future perspective of Gija Joseon, Korea should respond to the problem if it is true or not with justification and actual benefit, and should give a careful attention on using Gija Joseon for China's Northeast Project.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quot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etc., reminded and praised that our country had been a nation of etiquette in the East from the old times. It is known that this suggested discrimination discussing difference of China and barbarian, and opened possibility that noble man can change culture of barbarian to culture of China. For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the records that Gija was conferred to King of Gojoseon, were very good justification for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And it was known that Hwayiron recognition of Yulgok based on 「Gijasilgi」 has clear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identity consciousness. Ground and source of Gija's ruling over Gojoseon is not clear and present situation such as China's minority race assimilation theory etc.
    was disclosed but this is still under progr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중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