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여자 청소년의 몸과 남성적 시선, 그리고 몸의 주체성 (The body of a female teenager and the masculine gaze and identity of the body, figured in the young adult novel)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9.09
25P 미리보기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여자 청소년의 몸과 남성적 시선, 그리고 몸의 주체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청람어문교육 / 71호 / 7 ~ 31페이지
    · 저자명 : 선주원

    초록

    이 글은 여자 청소년의 몸이 남성적 시선과 담론에 의해 ‘보여지는’ 몸 혹은 ‘더렵혀진’ 몸으로 이미지화되는 것의 폭력성, 그리고 성적 대상화에 대한 성찰을 통한 몸의 본래적 가치 인식과 성폭력의 트라우마 극복을 통한 몸의 주체성 인식에 초점을 두어,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여자 청소년의 몸에 대한 남성적 시선과 몸의 주체성 문제를 살펴보았다.
    여자 청소년의 몸이 남성적 시선과 담론에 의해 ‘보여지는 몸’으로 이미지화되는 것과 그것의 각인은 김혜정의 《다이어트 학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여자 청소년들이 날씬한 몸만들기와 이미지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 그 과정에서 남성적 가치체계를 내면화하여 자신의 몸을 타자화하여 어떻게 이미지화하는지, 그리고 타자에 의해 규정된 이상적인 몸의 이미지에 대해 어떻게 성찰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신한 여자 청소년의 몸이 ‘더렵혀진’ 것으로 이미지화되는 것은 임태희의 《쥐를 잡자》를 통해 논의되었다. 이 논의를 통해 뱃속의 태아를 ‘쥐’라고 여기면서 자신의 몸이 더렵혀졌다고 인식하는 여자 청소년의 자살에는 남성적 규율과 가치체계에 따른 몸의 이상적 이미지화가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적 대상화에 대한 성찰을 통한 몸의 본래적 가치 인식은 박현욱의 《동정 없는 세상》을 통해 논의되었다. 이를 통해 여자 친구에게 섹스를 강요하는 남자 청소년의 시선에는 여성의 몸을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시선이 깔려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남자 청소년이 여자 친구와의 섹스에는 책임이 따르며, 여자 친구의 몸이 성적 대상이 아닌 본래적 가치를 갖는다는 것을 성찰하는 것에는 성주체성의 형성이 토대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자 청소년이 친족의 성폭력과 그 트라우마를 극복하면서 몸의 주체성을 회복하는 양상은 임태희의 《나는 누구의 아바타일까》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촌 오빠와 아버지에게 성폭력을 당한 두 여자 청소년이 상호 간의 소통을 통해 분노감이나 자기학대에서 벗어나 점차 자기 몸의 주체성을 성찰하는 것은 남성적 시선이 아닌, 자신의 시선에 의해 몸이 갖는 본래적 가치를 인식하는 그녀 자신의 의지와 태도가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article focused on the violence of a young woman's body being "seen" or "dirty" by her masculine gaze and discourse, and the body's perception of self-reliance through reflection of sexual objectivity and the body's perception of self-reliance through overcoming traumas of sexual violence, and looked at the problems of male eyes and body self-reliance in a young woman's body in a young adult novel.
    The body of a female teenager is imaged as a 'visible body' by masculine gaze and discourse, and its imprint is viewed through Kim Hye-jeong's 《Diet School. Through this process, we could see how young girls are striving to build and image slim bodies, how they are internalized and imaged their own bodies, and how they reflect on the ideal body image defined by others.
    Imaging a pregnant female teenager's body as 'dirty' was discussed through a discussion on catching Lim Tae-hee's mouse. Through this discussion, the suicide of a young woman who considers the fetus in her stomach a "rat" and perceives her body to be dirty showed that the body's ideal image was influenced by masculine discipline and the value system.
    The recognition of the body's original value through reflection on sexual objectification was discussed through Park Hyun-wook's 》unsympathetic world. This shows that the eyes of male teenagers who force their girlfriends to have sex are based on sexual targeting of women's bodies. However, the fact that a teenager is responsible for having sex with a girlfriend and reflect on the fact that her body is of inherent value rather than sexual object shows that the formation of sexuality was the foundation.
    As a young woman overcame her own sexual violence and trauma, she looked at who Lim Tae-hee's avatar was. This showed that the two young girls who were sexually assaulted by their cousins and their fathers gradually reflected her own will and attitude in recognizing the body's original value by her own eyes, not by her masculine gaze, as she moved away from anger or self-abus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람어문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