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지(現地) 그리고 천리마 - 천리마 시대의 군중문화사업과 인민경제의 시각화 (Loci and the Flying Horse: A Mass Culture Project in the Age of Chollima and a Visualization of the People’s Econom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0.12
32P 미리보기
현지(現地) 그리고 천리마 - 천리마 시대의 군중문화사업과 인민경제의 시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40호 / 477 ~ 508페이지
    · 저자명 : 이영지

    초록

    이 논문은 ‘현지’와 ‘천리마’라는 두 주제어를 통해 북한의 대중선동과 경제 예술 행위의 결합과정을 알아보고, 주체미술의 대표 장르인 조선화가 어떻게 천리마 시대를 신화화하고, 북한 인민경제의 중공업 우선주의와 자력갱생의 경제정책들을 재현했는지 분석한다. 1956년경 시작된 천리마 운동을 계기로 북한의 미술계는 미술을 경제선동에 동원하고, 사상교육의 도구로 이용하고자 미술의 대중화 운동을 대대적으로 진행하였다. 예술이 전문가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인민의 것임을 주장하는 김일성의 군중예술론을 바탕으로, 당과 미술가동맹 그리고 각 도지부는 미술창작 행위를 체계적으로 집단화하였고, 미술가들과 근로인민대중들은 공장·탄광·어촌 등의 ‘현지’에서 함께 노동하며 공동으로 생산-창작-전시 관람하는 행위를 통하여 현실 에서 “천리마 기수”의 양산을 도모한다. 한편 천리마 운동의 성공은 제1차 인민경제 계획 (1957-1961)의 목표 달성을 의미하기도 했는데, 김일성이 1960년 11월 27일 교시를 통해 미술가들에게 “천리마 시대의 전형”을 창조할 것을 재차 요구하자, 현지에 파견된 미술가들은 군중문화사업 조직과의 협조 하에 북한식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일컫는 “인민경제”를 주제로 창작 활동을 이어간다. 이 과정에서 주체미술은 전형성의 관점에서 강선제강소와 그곳에서 1956년에 일어난 김일성의 현지지도를 기념하며, 김일성을 노동계급을 해방시킨 역사적인 지도자로서 우상화하게 된다.

    영어초록

    With the beginning of the Chollima Movement(ca. 1956-1961), the North Korean art world implemented the massive popularization of art for the purpose of economic agitation and ideological education. Based on Kim Il-Sung’s art theory that art should belong to the people, the party, the Union of North Korean artists and each provincial branch systematically organized a mass culture movement called kunjung munhwa saup that combined economic production with art-creation activities. Kim’s November 27(1960) instruction provoked the large-scale mobilization of professional artists who were sent to diverse loci of socialist construction such as industrial factories, coal mines and agricultural fields, etc. They lived and labored with local workers and painted and taught these “chollima riders.” Through the collective modes of production/ consumption and art-making practices along with the lens of typicality, they were forced to achieve high productivity and meet the goals of the First People’s Economic Plan(1957-61) in conjunction with the Chollima Movement. In this process, North Korean paintings, especially chosunhwa in socialist realist Juche styles, generated the myth of the Chollima Movement and reproduced it even after its official end in 1961. Between the 1960s and the 1970s, North Korean paintings visualized the People’s Economy as part of the personality cult of Kim Il-Sung and memory politics. While idolizing Kim as the savior of workers, these visual images pictorialized the success of North Korea’s economic agenda, which prioritized heavy industry and created the illusion of self-reli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