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로컬, 로컬리티 그리고 인문학적 공간― 로컬리톨로지 도달에 관한 동양학적 전망 (Duality in the Discourse of Multiculture and Locali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0.04
27P 미리보기
로컬, 로컬리티 그리고 인문학적 공간― 로컬리톨로지 도달에 관한 동양학적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로컬리티 인문학 / 3호 / 47 ~ 73페이지
    · 저자명 : 이명수

    초록

    이 논문은 로컬리티 인문학의 공간(경계)에 관한 동양학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그리하여 로컬, 로컬리티, 지역, 지방, 주변, 변방 가치의 인문학적 보편성 확보의 가능성, 로컬리톨로지의 동양학적 전망을 탐색한 것이다.
    로컬리티는 동아시아 문화적 맥락에서 접근해 볼 때, 시간과 공간이 어우러져 이루어지는 특수한 문화 근거이면서 고유한 문화를 남기는 공간적 조건이거나 로컬적욕망 표상이나 동질성의 단위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중심주의적 중앙권력에 의해 구석진 야만 문화의 장소로 인식되었는데, 본 논문은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먼저 이 논문에서 구체 공간으로서 “로컬”과 “로컬리티”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에 해당하는 동양학적 공간인 지방의 의미를 더듬는다. 나아가 지방이나 지역이라는근거를 통해 발생하는 인간 발자취로서 인문의 의미, 그리고 인문의 범주인 문명과문화의 관계를 논의한다. 궁극적으로 문화란 자연의 무늬(이치)가 밝히 인문으로 드러나고, 그것이 변화, 생성의 과정을 겪는 것이다. 곧 동아시아적 자연관으로는 천문과 인문, 문명, 그리고 문화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이 논문은 살펴보았다.
    이외에 필자는 인식의 경계, 입경계(入境界)와 탈경계(脫境界)의 문제 등을 또한차례로 논의하면서, 로컬리톨로지 도달에 관한 동양학적 전망을 내놓는다.

    영어초록

    There are three kind of regional cultures. First, regional culture in the globalperspective would be understood as East Asian Culture, North African Culture, EastEuropean Culture and so on. Second, broad regional culture would be KoreanCulture, Japanese Culture, China Culture etc. Third, narrow regional culture as inKorea would be Busan Culture, Cheongju culture and Gwangju culture which areused in one nation state. In these perspectives, each category of the regional culturehas its own local identity.
    I would use locality of the regional culture in the perspective of one nation statelike Korean Cultural locality. But we call it not as jiyeokseong(地域性) but aslocality because of several reasons. Korean Culture as a regional culture hasdistinctive cultural environment which organizes its own cultural ecosystem.
    Locality can be interpreted as local characteristics, but there is a subtle phenomenonof différance as said by Jacques Derrida.
    Korean monoculturalism has been enforced during the modernization for the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Nationalists in the beginning of thetwentieth century mystified the Dangun Myth which resulted in the Korean culturalhomogeneity. Moreover, mystification of the myth established the monoculturalismand Ideology of the Korean Pure Blood. As said by B. Anderson, Korean under thecolonial rule might make an imagined community with the cultural homogeneitythrough language Chosunoe, language of Korean.
    This monocultural climate in Korea came across the multiculturalism and culturaldiversity during the 1990s. Disposition of Korean's monocultural idea oppressed andgave symbolic violence toward the immigrants and other residents in South Korea.
    Multiculturalism in Korea has adjusted to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 change ofhistory textbooks around the year of 2004. Finally, Korean assimilated culturaldiversity, heterogeneity, plurality, multiplicity as moving from nationalism to theopen ideology.
    Unexpected problems has come to this issue. Korean culture could exist throughits established regional culture in the global cultural ecosystem. If we have a geocultural perspective within this world cultural ecosystem, Korean culture mustkeep its monoculturalism and its Ideology of the Korean Pure Blood ironically. It isan ironical phenomenon of culture, because Korean culture is itself a regionalculture and must keep its cultural identity. In this cultural circumstance, Koreanmonoculturalism is the global multiculturalism and cultural sameness is the globalcultural diversity. It is the parallel antagonism of culture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로컬리티 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