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아 참여권 증진을 위한 학급회의 경험: 어려움과 혼란 그리고 작은 희망의 기록 (The experience of class meetings to promote children’s rights of participation: Documentation of difficulties, confusions, and hop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0.06
29P 미리보기
유아 참여권 증진을 위한 학급회의 경험: 어려움과 혼란 그리고 작은 희망의 기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육아지원학회
    · 수록지 정보 : 육아지원연구 / 15권 / 2호 / 25 ~ 53페이지
    · 저자명 : 배수나, 권귀염

    초록

    본 연구는 유아 참여권 증진을 위한 노력의 과정으로 학급회의를 통한 학급의 공동 운영을 시도한 교사와 유아들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G광역시의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25명과 본 연구의 공동연구자인 담임교사가 학급회의를 시도하였으며, 해당 장면의 참여관찰, 유아 들과의 심층면담, 참여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학급회 의의 의미를 제대로 안내받지 못해 필요성을 이해하기 어려워하였으며, 참여교사 또한 교육신념을 현실 화하는 실천적 방법 찾기에 어려움을 겪었다. 유아들은 점점 학급회의 시간을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였고, 참여교사도 점차 자신감을 잃어갔다. 이러한 어려움과 혼란의 과정을 고려할 때 성공적인 학급회의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작지만 의미 있는 희망 역시 발견되었는데 유아들이 학급의 문제들에 대해 공유, 소통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듯이 보였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의 진정한 권리 실현을 위해서 특정한 활동이나 프로그램이 아니라 교사의 교육적 접근 방식, 유아관 등 교육 전반에 대한 성찰과 변화를 위한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더불어, 협력적 교육공동체 속에서 교사 들이 실천적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a teacher and children who attempted class meetings to promote children’s rights of participation. The teacher, who was also one of the researchers in this study, and 25 5-year-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ried to have class meetings regularl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s of the class meetings,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self reflective journals from the teacher.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hildren were less likely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the class meetings due to the lack of sufficient guidance required to internalize the meanings of the class meetings.
    The teacher also had a hard time in finding practical ways to realize her beliefs about children’s right to participate. As time passed, the children complained that enduring the meeting period was hard, and the teacher gradually lost self-confidence. Considering such difficulties and confusion, it is hard to say that the class meetings were successful. However, small but meaningful hope was also found; the children seem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haring and communicating the class matters. Such findings imply that teachers need to deliberate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views on children in order to realize children’s rights to participate rather than implementing specific activities or program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tmosphere within collaborative educational communities which helps teachers to find diverse practical ways to enhance children’s rights of particip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육아지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