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티고네 담론 소포클레스 및 세네카, 장 아누이, 브레히트를 중심으로 본 소재의 변용 (Revision of the Story of Antigone from Sophocles through Seneca to J. Anouilh and L. Brecht)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06.12
36P 미리보기
안티고네 담론 소포클레스 및 세네카, 장 아누이, 브레히트를 중심으로 본 소재의 변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전학연구 / 27호 / 151 ~ 186페이지
    · 저자명 : 최혜영

    초록

    안티고네 관련 소재는 각 시대마다, 각 작가의 성향과 상황에 따라 변용, 재해석되면서 이와 관련한 많은 담론을 낳았다. 이 글은 크게 두 개의 장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 번째 장에서는 당시의 아테네의 정치사회적 상황에 맞추어 소포클레스가 기존의 안티고네란 소재를 어떻게 새롭게 각색하였는가를 다루고 있다. 두 번째 장에서는 로마 제정기의 세네카와 20세기의 안티고네 관련 극작가 아누이와 브레히트를 대조하면서 각 극작가가 처한 정치사회적 배경과 신념에 의해서 안티고네 소재가 다시 어떻게 재수용되며 새로운 담론으로 변형되는가를 비교 분석하고 있다. 이 논문의 독창성은 특히 1장에 있다. 테바이 공주 안티고네에 대해서는 호메로스나 헤시오도스, 특히 테바이가 고향인 핀다로스도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 그런데 아테네 비극작가 소포클레스는 기존의 신화를 변형시키면서 남성적인 강인한 안티고네를 새롭게 탄생시켰다. 안티고네 뿐만 아니라 아르고스의 엘렉트라, 클리타임네스트라 등의 대부분의 여성 주인공들은 비극 중의 남성 주인공을 압도하는 강인한 여성상을 지니고 있다. 이를 고전기 시대 여성의 권한이 커졌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학자들이 있다. 하지만 필자는 이는 소포클레스가 테바이(및 아르고스)를 남자와 여자의 역할이 전도된 사회, 폭군정의 사회, 근친상간하는 저주받은 곳임을 나타내기 위한 플롯임을 주장하고 있다. 즉 페르시아 전쟁 당시 친페르시아편이었던 테바이(및 아르고스)와 대치하였던 아테네의 상황이라는 역사적 콘텍스트를 무시하고, 비극 텍스트 자체만 보았기 때문에 많은 오해가 있어왔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의 단점은, ‘서양고전학과 인문정신’이라는 주제의 서양고전학회 20주년 기념 학술대회의 성격에 맞추어 기술, 발표되었으므로,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로부터 20세기의 브레히트에 이르기까지의 방대한 시기를 함께 다루고 있어 논리적 조밀함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렇게 숲을 동시에 보는 것도 의의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ews the images around Antigone reproduced through ages, from Sophocles to the 20th centuries. It consists of two parts. In the first part, I focus on the Sophoclean Antigone, while in the following part, on the Antigone created by Seneca, J. Anouilh and L. Brecht.
    The central role of women in Attic tragedy-a strong contrast to their muted role in Athenian society was pointed out by many scholars. Some interpret it as an evidence that the status of Greek women were neither socially secluded nor despised, but significant enough. But I argue those ‘strong’ women like Antigone in tragedy do not represent ordinary or exemplary women, but women in cursed society such as Thebes or Argos. In this tragedy, Thebes is a byword for manlish woman, feminized men, despotism and incest. While Antigone makes no appearance in Homer, Hesiod, or Pindar(whose nationality is Thebes!), Sophocles created and vitalized Antigone-character, manipulating traditional myths for political purposes-that is Athenocentric and anti-Thebaic. My argument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bes(and Argos) took the side of Persia against Athens during the Persian war. In short, the Antigone of Sophocles appeared as a propagandic civic project to mock and to weaken Thebaic influence.
    In the second part, I argue that like Sophocles who revised the traditional myth according to Attic mentality, so did other writers such as Seneca, J. Anouilh and L. Brecht. Each of them reinterpreted and reproduced Antigone-story according to their own viewpoint which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situation(especially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under which they lived), spirit and belief. In this way, myths or stories have been constantly reformulated and reshaped by authors to conform with political, social or cultic agendas and it gives us ㅁ lesson that we should not miss the context from which a text is emer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고전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