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비다, 과부들, 그리고 가족 개념의 재정의 (행 9:36-43) (Tabitha, Widows, and Redefined Concept of ‘Family’ in Acts 9:36-43)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3.12
25P 미리보기
다비다, 과부들, 그리고 가족 개념의 재정의 (행 9:36-43)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연구 / 60권 / 2호 / 125 ~ 149페이지
    · 저자명 : 이현주

    초록

    욥바의 다비다라는 여성이 부활한 이야기(행 9:36-43)에 대하여 전통적 해석들은 베드로의 사도적 권능을 강조하거나, 다비다의 지도자적 자질을 강조해왔다. 한편, 기존 연구들은 다비다를 위해 울며 베드로 앞에서 다비다의 선행을 증언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과부들’을 단순한 구제의 대상이자 공동체의 약자로만 치부해왔다.
    본 소고는 당시 헬라적 문화권에서 덕목의 하나로 통용되었던 ‘옷짓기’ 메타포를 분석하고 로마 사회에서 후견인 역할을 했던 여성들의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본문의 ‘과부들’ 재해석을 시도한다. 헬라적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이는 욥바의 ‘과부’ 그룹은 당시 사회가 이상적으로 칭송하던 어머니상에 부합하는 인물들로서, 그들과 함께 후견인으로서 공동체에 헌신하던 다비다를 위해 장례를 주도하는 ‘가족’으로 역할한다. 본 연구는 다비다를 두고 과부들이 보여주는 긍휼과 연민이 어떻게 초기 기독교 가족(household)을 재정의하며, 이 재정의가 어떻게 10장부터 시작하는 이방 선교의 사상적 기틀을 마련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o interpret the story of Tabitha’s resurrection (Acts 9:36-43), major studies have highlighted either Peter’s apostolic authority or Tabitha’s leadership. Meanwhile, they have overlooked the significance of “the widows” in the text, regarding them as the mere dependents of Tabitha’s benefaction. This paper aims to revisit the significant role of “the widows” who advocated for Tabitha by crying and presenting the garments that she made.
    Based on the examples of female donors in the Greco-Roman world, this study rejects the idea that “the widows” always indicates the marginalized in the community. Instead, drawing Greco-Roman perception of the weaving as the feminine virtue, as well as the examples of wealthy female donors in the Roman worl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widows” in the text might represent the virtuous contributors in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Luke depicts these female contributors as the family members who serve their role throughout Tabitha’s funeral, and the pathos discovered from the Lukan narrative reminds the readers of the human/divine pathos that resulted in resurrection of the dead (Luke 7:12-13; 8:49). This study suggests that Luke, by redefining the concept of family centering mutual compassion and pathos, establishes the basis of the divine household which crosses the ethnic, cultural boundaries to call the Gentiles to become the children of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