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상 시에 드러난 ‘피’와 ‘얼굴’ 그리고 ‘두개골’ 이미지의 유기성 연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s of blood, face and skull in Yi-Sang’s Poetr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4.06
23P 미리보기
이상 시에 드러난 ‘피’와 ‘얼굴’ 그리고 ‘두개골’ 이미지의 유기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8권 / 2호 / 27 ~ 49페이지
    · 저자명 : 박소영

    초록

    이상 문학의 한 특성으로 여겨질 만큼 그의 문학에 빈번하게 드러나는 신체 기관의 분열이나 결핍‧ 과잉 현상은 세계와 관계 맺는 ‘나’의 태도와 긴밀히 연관된다. 이러한 그로테스크한 몸 이미지는 ‘병든 몸’의 형상화이자 ‘역동적인 몸’-‘생성하는 몸’으로 나아가기 위한 사투의 흔적으로 해석된다. 해체된 신체 기관의 형상화는 몸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분열되지 않고 끊임없이 화자의 고통을 가중시킨다는 점에서 해소되지 않는 죽음의 공포를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공포의 정념에 사로잡힌 화자는 ‘피’-‘얼굴’-‘두개골’과 같은 육체 쇄신의 상상 구도를 통해 병든 몸을 갱신하고자 시도한다. 표면상 대립적으로 보이는 세 이미지는 이상의 시작품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존재의 근본적 지향점을 보여주는 축이 된다. 인체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피’의 원형 상징은 이상의 작품에서 ‘악령’으로 드러나며, 자아의 정체성과 관련된 ‘얼굴’은 부패하고 변형되는 속성을 보이는 등 병든 몸의 고통은 이상의 작품에서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로 나타난다. 이러한 몸을 쇄신하고자하는 욕망은 곧 불변하는 ‘두개골’ 이미지를 호출하기에 이르고, 이상은 ‘두개골’과환유 관계를 맺는 ‘사유하는 몸’으로부터 존재의 본질을 찾으면서 절망감을 극복하고자 한다. 사유하고 기록하는 것이 지식인의 생존 방식 중 하나라면, 이상은 이를실천하고 수행하는 과정을 ‘두개골’로 이미지화함으로써 육체 쇄신의 욕망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본고는 ‘피’ 이미지를 드러내는 시편들에서 육체의 쇄신 욕망을 발견하고, ‘두개골’ 이미지로부터 새로운 가능성으로서의 사유하는 몸의 세계를 드러내고자 한다.
    <병든 ‘피’와 절망→쇄신 욕망→실패→유한한 ‘살’의 거세→몸의 본질을 드러내는‘뼈’의 발견→정신적 승화 과정→사유와 관련된 ‘두개골’ 형상화→육체적-정신적본질의 동일화>와 같은 단계는 이상의 몸 이미지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지점이라할 수 있다. 이러한 해명 과정은 이상의 시를 바라보는 또 다른 시각을 제공할 것이라 예상한다.

    영어초록

    One of the most unique features of Yi-Sang’s poetry is the frequent descriptionof body images that are characterized by deprivation, disintegration or excess. Thisway of express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mental attitude he takes toward the world.
    His body, often grotesquely depicted, illustrates his weak physical health and canbe interpreted as his struggle towards health that is reanimated and dynamic. Bydepicting the disintegration of organs that remain as part of his body, causingcontinuous pains, he wanted to show how he faces the enduring fear of death.
    Being consumed by that fear, he attempts to restore and rejuvenate his physicalhealth by inserting the images of blood, face or skull. While these images may seemantithesis on the surface, they nonetheless are closely related in Yi-Sang’s poetryand serve as the pillars of the ultimate pursuit of his existence. In his work, theoriginal symbol of blood, which is the source of sustaining life, is expressed as anevil force. Yi-Sang also grotesquely shows his illness and pain he has to endureby illustrating twisted and decayed human face, which is the emblem of humanidentity. His desire for better and restored health is embodied in the image of skull.
    He tries to overcome despair through his active pursuit towards the intellectual world,the metonymy of skull. Assuming that thinking and recording are the way of lifefor enlightened intellectuals, Yi-Sang clearly shows his desire for reformed physicalhealth by summarizing the process of action and practice into a simple image ofskull.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desires for good physical shape in poetry that mentionblood and derive the intellectual world as new possibilities from the image of skull.
    The stages from sickened blood and despair, to desire for restoration, to failure,to removal of finite flesh, to discovery of bone that is fundamental to physical body,to mental sublimation, to imaging of skull as intellectuality and to identification ofmental and physical world is the unique technique of expression that his work employs.
    By looking into the stages, it is hopeful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new lensthrough which Yi-Sang’s poems are viewed and interpre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