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속화, 세속주의, 그리고 그리스도교-세속주의 문화와 새로운 복음화 (Secularization, Secularism, and Christianity: The Culture of secularism and the New Evangelization)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3.06
54P 미리보기
세속화, 세속주의, 그리고 그리스도교-세속주의 문화와 새로운 복음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 / 22호 / 73 ~ 126페이지
    · 저자명 : 정희완

    초록

    이 논문은 세속주의와 세속화의 관점에서 그리스도교와 문화의 관계에 대해 탐구한다. 오늘날 교회 당국자들은 세속주의 문화의 도전이 신앙의 위기를 불러왔고 그래서 새로운 복음화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세속주의에 대한 교회의 이해는 다소 부정적 뉘앙스를 풍긴다. 하지만 세속주의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속적인 것”과 “세속화”와 “세속주의”라는 개념들을 분리해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사실, 일종의 세계관 또는 이데올로기로서의 세속주의는 모든 지역에서 똑 같은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는 명료한 원칙이 아니다. 현대 문화의 많은 다양한 현상들이 세속주의라는 이름으로 설명되고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보면, 현대의 세속성은 서구 그리스도교 문화의 산물이다. 세속화 이론의 밑바탕에는 강생신비라는 그리스도론적 전제가 깔려있다.
    오늘날 종교와 문화는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현대 종교학자들이 지적하듯이, 종교는 언제나 문화적 컨텍스트 안에 서 있다. 또한 문화적 세계화의 과정 속에서 그리스도교 문화와 세속 문화의 경계가 거의 사라지고 있다. 사실 종교와 문화는 언제나 상호작용을 통해 한 사회의 정치와 윤리와 미학적 규범을 생산하고 구성한다. 따라서 오늘날 교회가 현대 문화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기란 매우 어렵다.
    오늘날 교회는 그리스도교 예언적 전통을 다시 회복해야 한다. 교회는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을 야기하는 자본주의 물질문화에 대응할 수 있는 대안적 문화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무엇보다 세속문화 속에 서 있는 교회 자신의 쇄신이 먼저 요청된다.

    영어초록

    This essay add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culture in terms of secularism and secularization.
    Today, many church officials argue that secularism is engulfing contemporary culture. Secularism is pervading the church and prevailing all around us. Pope Benedict XVI called for the new evangelization, which is focused on re-proposing the Gospel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a serious crisis of faith due to secularization.
    However, as Jose Casanova points out, we have to keep in mind the basic distinction between "the secular" as a central modern epistemic category, "secularization" as an analytical conceptualization of modern world-historical processes, and "secularism" as a worldview and ideology.
    In fact, secularism is not a clear and unequivocal principle that ought to be applied everywhere in the same way. Secularism is complex because it is made up of a set of moral aim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Secularity is a religious phenomenon. God has disappeared by becoming so immanent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sacred and the secular. Contemporary secularity is actually implicit in classical christology as it was defined in the great church councils of the fourth and fifth centuries.
    Religion and culture becomes more interconnected and therefore more complex. Contemporary scholars of religion have focused more and more on the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religion and culture, which requires embedding religion in its contexts. Religions are matters of practice. Like religion, culture is not an abstraction but a practice. Religion and culture produce, reproduce, and structure politics, ethics, and aesthetics that are performed in a society. In the process of cultural globalization, the line separating Christian culture and secular culture has been gradually eroding. How should Christian relate to contemporary culture? Do we flee, fight, set up an alternative, or what? It is very difficult to answer the question.
    The church has to revive a prophetic vision within the Christian tradition and provide an empathetic and imaginative power that confronts hegemonic powers always operating in contemporary culture. To do that, the church in a secular culture first of all needs to renew her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