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보의 시에 나타난 ‘長安’ 그리고 場所愛(토포필리아) (Jangan(長安) in Du Fu's Poems and Topophili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0.12
28P 미리보기
두보의 시에 나타난 ‘長安’ 그리고 場所愛(토포필리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12호 / 265 ~ 292페이지
    · 저자명 : 신은경

    초록

    ‘장소애’란 지리상의 어느 한 지점으로서의 장소에 주관적 정서가 가미된 개념인데두보에게 있어 그 대상이 되는 곳은 ‘낙양’과 ‘장안’이다. 이 글은 이 중 ‘장안’에 중점을 두고 ‘장소’ 및 ‘장소애’라는 관점에서 두보의 시를 살핀 것이다. 이를 위해 두보의삶과 창작의 무대가 된 곳을 낙양권역, 장안권역, 제3권역으로 구분하였는데(Ⅱ장) 이중 장안과 무관한 낙양권역은 제외하고 나머지 두 권역에서 지어진 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텍스트 언어학의 ‘기능적 텍스트 구성법’의 이론을 차용하여 권역별시에 장안이 어떻게 언어화되었는가를 살핀 다음(Ⅲ~Ⅳ장) 이에 근거하여 장안에 대한 장소애가 형성・정착되는 양상을 살폈다(Ⅴ장). 장안권역 전기 시에서의 장안은 求 職 활동의 거점으로, 후기 시에서는 관리로서의 임무를 수행하는 장소로 그려진다. 장안권역 시에서는 장안이 지닌 ‘公的’인 성격이 부각되는 한편 제3권역 시에서는 장안이 ‘私的 空間化’되어 ‘고향’의 의미로 자리잡는 양상을 보인다. 이런 논의를 토대로두보의 삶과 시에서 ‘장안’에 대한 장소애가 ‘형성’된 것은 제3권역 전기이고 확고하게 ‘정착’된 것은 제3권역 후기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영어초록

    The term topophilia introduced by geographer Yi-Fu Tuan is defined as the affective bond with one's environment or peculiar places. When working with Du Fu's poems, the objects of the topophilia would be Luoyang(洛陽) and Jangan. Among these, this article focusing on Jangan intends to explore how Jangan is expressed and embodied in his poems(ch.Ⅲ~Ⅳ) thereby showing the aspects of how and when the topophilia of Jangan is formed and settled down(ch.Ⅴ). For these purposes, I classified the places which could be the basis of Du Fu's lifehood and composition of poems into three areas: Luoyang area, Jangan area, and the third area. Further for the consideration of ch.Ⅲ~Ⅳ, I employed the terms "theme" and "rheme" of text linguistics.
    Jangan in the poems of early Jangan area is described as an arena for seeking employment and in those of late Jangan area as the location of the workplace for performing duties as a government official. Unlike in the poems of Jangan area which the "public" characteristic of Jangan comes to the fore, in those of the third area the "private" characteristic of Jangan is emphasized. Based on the discussions of the ch.Ⅲ~Ⅳ, we become to reach the conclusion that the topophilia of Jangan begins to "be formed" in the early third area and "takes root" in the late third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