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국수주의’와 ‘일본주의’의 진폭 그리고 ‘번신’(翻身) 제국주의 (The Amplitude of Japan’s Kokusui, Japaneseism and Transformational Imperialism)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0.05
37P 미리보기
일본의 ‘국수주의’와 ‘일본주의’의 진폭 그리고 ‘번신’(翻身) 제국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77권 / 2호 / 289 ~ 325페이지
    · 저자명 : 전성곤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일본이 국수(国粋)를 어떠한 방식으로 맥락화하여 국가주의의 논리를 합리화했는가 그 변용과정을 설명해내고자 한다. 일본은 내셔널리티(Nationality)를 ‘국수’라고 번역하면서, 국가주의를 창출해냈고 이 국가주의 논리에 침잠하게 되면서 그것으로부터의 탈맥락화를 찾지 못하게 되었다. 따라서 ‘국수’의 세계화(worlding) 프로세스 속에 ‘내재한 원리’를 밝혀내는 것은 일본 국가주의 사유구조를 밝히는데있어서 매우 유의미하다고 여겨진다. 일본에서는 국수를 사용하면서 반서구화와 반한학(漢學)이라는 제3의 입장을 지향하면서 출발했다. 서구의 내셔널리티를 국수로 번역하고, 이 국수라는 용어를 국수주의, 일본주의 변용시켜가면서 국가주의나 제국주의와는 무관한 것이라는 입장을취하고 있었다. 그것의 근거는 인간의 자유ㆍ해방ㆍ개인 인식의 각성을해결한다는 ‘보편적 세계성’을 지향한다는 점에 두었기 때문이다. 결국국수주의에서 일본주의로 나아가면서 만들어낸 세계주의는 ‘국민 도덕론’이었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론을 통한 전체주의’로 귀착해간 것이다.
    즉 역설적으로 ‘세계화 문맥’은 ‘국가주의 = 제국주의’의 공정화(公定 化)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본 논고에서는 서구 이론들이 가진 ‘개념’을 받아들이는 자세와 그 서구어를 모국어와 접목하는방식에서 나타나는 ‘세계성’을 살펴보고, 어떻게 ‘주체’를 설명하는지를살펴본다. 보편적 인간의 문제로서 ‘개인의 각성’에 주목하여, 국수주의와 일본주의라는 지반을 형성하는 논리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만들어낸 지적 논리는 서구의 셸링(Schelling), 쇼펜하우어(Schopenhauer)의영향과 왕양명의 양지(良知)이론, 그리고 그린(Green)과 니체(Nietzsche) 의 논리를 니치렌(日連)과 접목시키면서 만들어낸 세계관이었다. 그 세계관은 국수주의나 일본주의, 그리고 세계주의의 진폭 속에서 만들어낸‘세계적 시각’이었던 것이다. 즉 서구로부터 빌려온 ‘세계주의’를 내부의 ‘국민주의’와 ‘황조’(皇祖)를 상속하는 부자연스러움 속에서 잉태된것이었다. 이 부자연스러움을 인지하는 주체를 찾기 위해서는 바로 국수주의가 번신(翻身)하여 ‘국가주의 = 제국주의’로 나아가는 ‘세계’ 속에서 ‘세계’를 탐구한 것이라는 점을 자각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how Japan recontextualized nationalism to rationalize the logic of imperialism and identify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In the view of the researcher, Japan created its own nationalism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nationality” as kokusui (国粋, lit. national characteristic) and giving the concept new meanings. Therefore, engrossed in its own logic of nationalism or imperialism, Japan has not yet reached the stage of decontextualization. In this respect, identifying which principle is intrinsic in Japan’s worlding process of chauvinism is thought to be significant in revealing the thought structure reflected in Japanese imperialism.
    Japan’s chauvinism and Japaneseism were born from an attempt to overcome the ambivalent position of anti-Western and anti-Chinese study. The concept of ‘nationality’ in the West was translated as kokusui, and the term was taken from the standpoint that it is irrelevant to imperialism and nationalism. In this context, it was claimed that the term connoted the pursuit of cosmopolitanity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related to human freedom, liberation and awakening. Nevertheless, the worlding context created based on chauvinism and Japaneseism was a process centered on Japan and served the rationalization of totalitarianism and the justification of imperialism. This process led to the birth of the new concept of cosmopolitanism, which was national morality, and this ultimately resulted in totalism based on morality. To elaborate on this process,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concepts of Western theories and the cosmopolitanity found in the way of grafting the Western concepts onto the native language, and how it explains the matter of the subject. This approach will enable to identify the logic that forms the foundation of Japanese chauvinism and Japaneseism, with a focus on the issue of individual awakening as a universal human issue. The intellectual logic that gave birth to Japanese chauvinism and Japaneseism was a new worldview forged by combining Wang Yangming’s theory of liangzhi (良知, lit. original knowing) and the thoughts of Green and Nietzsche with Nichiren Buddhism, under the influence of Schelling and Schopenhauer. This worldview was thu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created under nationalism, Japaneseism and cosmopolitanism. That is, it was conceived by the unnatural connection of cosmopolitanism borrowed from the West to the internal nationalism and emperor system. To find a subject that can recognize this unnaturalness, there is a need for the awareness of the process where this chauvinism was transformed into a means to explore the world in the world system of the time that was towards imper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