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저항권의 정당화와 이론적 지평 : 비판과 실천 그리고 전망 (Justifications and Theoretical Horizons of the Right to Resistance : Critique, Praxis and Prospects)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4.10
56P 미리보기
저항권의 정당화와 이론적 지평 : 비판과 실천 그리고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법과사회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사회 / 77호 / 251 ~ 306페이지
    · 저자명 : 김대근

    초록

    본 논의는 저항권 이론에 대한 법이론적 분석을 통해, 우리 법과 실무에서 저항권 개념과 저항권 행사가 어떻게 자리매김해 왔는지를 분석하고 입법 및 입헌적 대안을 제시하려는 시도다. 저항권의 개념은 강학상 논의되어 왔고, 우리 헌정사에서도 저항권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지만, 정작 법 실무에서는 개념을 파악하거나 그 행사를 인정하는데 소극적이었다.
    호펠트의 권리유형 분석의 형식적 틀에서 볼 때, 저항권은 법적 관계의 다층적 측면을 모두 가지면서, 특히 ‘공격받지 않을 권리’로서 다른 이들이 그를 공격해서는 안 된다는 당사자의 도덕적 청구를 핵심으로 하고 정당방위의 실질을 지닌다. 그러나 저항의 대상이 국가 내지 공권력인 경우, 보호법익이 ‘헌법수호’ 또는 ‘법치국가 수호’와 같은 국가적 법익부터 구체적 개인적 법익 침해까지 다양하다는 점에서 개인적 법익보호를 전제로 하는 실정법상의 정당방위만으로는 저항권을 근거짓기 어렵다. 더 나아가 저항권은 통상 하나의 개인이 행사하는 것을 넘어 국민, 시민, 내지 특정한 정치적 주체와 같은 집단이 행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단일한 권리라기보다는 권리들의 총체이고, 집단 내지 다중이 권리 주체가 될 수 있다.
    저항권은 우리 헌법에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아 대한민국 헌법이 저항권을 인정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고, 과거 대법원 판례는 저항권의 재판규범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5・18민주화운동 관련 주요 사건 및 재심결정에서 우리 법원은 저항권의 행사를 형법상 정당행위로 적극 인정하면서, 일관된 태도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편 저항권을 실질적으로 이해할 때, 저항이 정당화되는 상황과 조건 및 그로인한 인권보장과 법치국가 회복의 가능성을 단계별로 유형화할 수도 있다. 역사적 평가를 통해 확인한 5・18 민주화운동의 전개양상은 국가 폭력의 강도에 따라 시민의 각성에 따라 점차 입체적으로 발전해간다. 헌법내적 저항에서 헌법외적 저항으로, 특히 헌정질서 수호를 주장하는 헌법수호권적 저항에서 인간의 권리를 보호하려는 인권보호권적 저항권으로 전개되는 방향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헌정질서 파괴범죄와 반인도적 범죄에 대항하여 시민들이 전개한 민주화운동은 위헌과 불법에 대한 방위라는 점에서 저항권 행사이자 정당방위적 성격을 갖는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하며, 국가폭력에 대한 정당방위 신설과 특히 5・18민주화운동 이념의 헌법 전문 수록을 통해서 실정적이고 실천적인 권리로서 자리매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provide a legal theoretical analysis of the right to resist, analyzing how the concept and exercise of the right to resist have been positioned in our law and practice, and to suggest legislative and constitutional alternatives. While the concept of the right to resist has been discussed in classrooms and the possibility of the right to resist can be found in our constitutional history, legal practice has been slow to grasp the concept or recognize its exercise.
    In the formal framework of Hohfeld's rights analysis, the right to resist has all the multilayered aspects of a legal relationship, most notably the “right not to be attacked,” which has at its core a party's moral claim that others should not attack him and has the substance of self-defense. However, when the target of resistance is the state or a public authority, it is difficult to base the right of resistance solely on common law self-defense. This is because the protected legal interests of right of resistance can range from national legal interests such as “defending the constitution” or “defending the rule of law” to specific personal legal interests while the self-defense is premised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legal interests. Furthermore, the right of resistance is not usually exercised by a single individual, but by a group of people, citizens, or a specific political entity. Therefore, it is a set of rights rather than a single right, and a group or multiple groups can be the subject of this right.
    Opposite to legal theoretical analysis, Korean legal practice has been slow to recognize the concept of the right to resist and its exercise. Since the right to resist is not explicitly stipulat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there has been controversy over whether the Korean Constitution recognizes the right to resist, and past Supreme Court precedents did not recognize the binding power of the right to resist. However, in major cases and retrial decisions related to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our courts have actively recognized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resist as legitimate under criminal law. This has continued to this day.
    From a practical standpoint, we can also categorize, by stages, the situations or conditions under which resistance is justified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restoring human rights and the rule of law. According to the historical assessment, the development of the May 18th democratization movement gradually developed in three dimensions in in terms of intensity of state violence and the awakening of citizens. It is worth noting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starting from constitutional resistance to extra-constitutional resistance, especially from the right to defend the constitutional order to the right to protect human rights.
    In conclusion,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pro-democracy movement carried out by citizens in response to crimes against constitutional order and humanity is an exercise of the right to resist and self-defense as it serves to defend against unconstitutionality and illegality. Reinforc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elf-defense against state violence and the inclusion of the May 18th Movement's spirit in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right to resist could be solidified as both a substantive and practical r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