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질병, 몸 그리고 환자의 문제 -의학과 간호학 사이에서- (The Problem of Illness, Human Body and Patient ―Between Medicine and Nursi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09.06
26P 미리보기
질병, 몸 그리고 환자의 문제 -의학과 간호학 사이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의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의철학연구 / 7권 / 115 ~ 140페이지
    · 저자명 : 홍은영

    초록

    의료인은 고통이라는 추상적 실체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고통에 이르게 된 원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다룬다. 19세기 이후 신의 자리를 대신한 과학이 일구어낸 성과에 대한 지나친 맹신은 과학적으로 측정되거나 객관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것은 진리가 아니라는 생각이 팽배하게 되는데 적잖은 기여를 해왔다. 이러한 관점은 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아픔과 고통을 지각과 인식의 차원에서 밀어내게 되었다. 그러나 인간의 삶 굴레에서 떼어내려야 떼어낼 수 없는 가치의 문제나 심미적 기준 및 규범의 틀과 삶의 이야기는, 과학을 등에 업은 의학의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주관적 관점의 문제를 파생시킨다. 자연적 대상이 아닌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의학과 간호학은 자연과학과는 달리 그것이 환자의 고통이든 질병체이든 간에 질병으로 고통을 받는 사람을 돌보거나 낫게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말하자면 환자 내에서 일정한 결과를 산출해 내는 것이 주요 작업 중의 하나이다. 결국, 질병의 과학적 사실만이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질병이나 치료에 대한 우리의 생각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우리의 관점 및 이해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질병, 인간의 몸, 그리고 환자를 매개로 발생하는 개념적 정의와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의학과 간호학의 영역에 내재한 문제점들과 역할을 검토함으로써 의료인의 역할을 조망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Medical personnel does not care for abstract entity, but for the
    person who has the cause of suffering resulting from illness. Since 19th
    century the replacement of religion by the science reinforced the blind
    belief that only scientifically measured and objectically verified facts
    could be true. The point of view based on this belief results in treating
    illness and suffering regardless of cognition and perception of the
    patient. But the problem of the value, aesthetic criteria, and norm and
    evaluation of the life gave rise to the problem of the viewpoint of the
    subject that the existing medicine theories could not accept. In fact, the
    human oriented(not natural object) medicine and nursing deals with the
    patient and alleviate suffering, it is more than science. In other words,
    producing some results in one sense is its main purpose. If we accept
    the idea that caring or treating patients can not solely depends on
    science, we can see another way of treating disease, namely idea that
    our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is key to the treatment of the
    illness. In this paper problem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the disease,
    human body, and the patient will be examined. In doing so, we will
    look out over the role of the medical personn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