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족과 농민 -대립과 갈등, 그리고 상호 의존적 호혜관계- (Local Elites and Peasants: Conflicts and Interdependent Reciprocit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06
39P 미리보기
사족과 농민 -대립과 갈등, 그리고 상호 의존적 호혜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73호 / 153 ~ 191페이지
    · 저자명 : 정진영

    초록

    한국사에서 조선후기 사족과 농민과의 관계는 일방적인 지배와 수탈/착취, 이로 인한 대립과 갈등으로 설명되고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그 구체적인 내용이나 성격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두지 못했다. 이 연구는 사족의 농민에 대한 지배와 착취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에 대한 시론이고 문제제기이다. 이것은 사족과 농민의 상호 관계와 일상적인 삶을 통해 접근해야 할 문제이다. 사족과 농민의 삶은 촌락에서 이루어지고, 전근대사회의 촌락생활은 공동체적 삶을 결코 외면할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재촌지주의 경우이고, 不在地主라면 이와는 전혀 다르다. 그리고 治者로서의 사족은 自意識과 公意識을 가진 집단이다. 사족과 농민의 신분적 관계에서 신분 그 자체가 상하 혹은 지배-피지배의 질서를 확보해 준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신분제에 기초한 사족의 향촌지배도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것은 양반이 신분인가 하는 질문과도 맥락을 같이 할 수 있다. 신분제적 지배란 사실상 농민의 경제적인 안정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면 이룰 수 없는 이상일 뿐이었다. 농민의 생존을 위협한 것은 신분이 아니라 늘 경제였기 때문이다. 지주-전호의 경제적 관계에서 지주의 가혹한 지대 징수는 무전농민의 적대의식을 격화시켜 항조투쟁이나 민란으로까지 전개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이해는 지주제에 대한 다양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착취란 수취의 절대적인 양이 아니라 농민의 생계 권리의 확보와 호혜성에 기초한 도덕적 원리의 실현 여부와 관련된 것이었다. 착취와 수탈은 在村地主地에서가 아니라 부재지주지의 지주-전호관계에서 보다 일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사족과 농민의 신분․경제적 관계에서 대립과 갈등은 늘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사회는 대체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 같은 안정은 다름 아닌 사족의 촌락거주와 농민과의 일상적인 삶을 함께 함에서 온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사족과 농민의 관계가 일방적인 지배와 착취에 기초한 것이 아니었음을 의미한다. 지배 엘리트의 촌락 거주, 이것은 조선 사회만의 특징적인 현상이었다.

    영어초록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elites and peasants in the late Joseon Period in Korean History has been described as one-way domination, plunder/exploitation, and conflicts. However, there was not much interest in the specific details or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a contemporary opinion and problem posing on the specific details and significance of local elites' domination and exploitation of peasants.
    This issue must be approached through the reciprocity between local elites and peasants as well as their daily lives. Their lives are based on a rural village, and the rural life of the premodern society cannot overlook the community life. However, absentee landlords are completely different; and local elites as powerful rulers are a group that has self-consciousness and public awareness.
    The status itsel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elites and peasants did not secure the hierarchy or dominant-subordinate order. Therefore, it was the same with the domination of local elites over country districts based on social hierarchy. This is also in line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yangban is a status. The domination based on social hierarchy was an ideal that cannot be achieved without the premise of economic stability of peasants, because what threatened their survival was not status but economy.
    The brutal collection of rents by the landlords in the economic landlord-tenant relationship intensified the hostility of moneyless peasants, which led to collective movements against landlords or riots. This understanding originates from various misconceptions about the landlord system. Moreover, exploitation was related not to the absolute amount of collection but whether the peasants have guaranteed rights to livelihood and whether there are moral principles based on reciprocity. Exploitations and plunders were more common in the landlord-tenant relationship on the land with the absentee landlord, and not the land with the resident landlord.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always exist in the hierarchical and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local elites and peasants. However, the Joseon society generally maintained high stability. This stability may have been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local elites lived in rural villages, sharing daily lives with peasants. This indicat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elites and peasants was not based on one-way domination and exploitation. The fact that dominant elites lived in rural villages is the distinctive phenomenon of the Joseo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