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의 환경정보공개제도, 그리고 그 평가와 시사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in the US, and its Valuation and Suggesti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2.11
39P 미리보기
미국의 환경정보공개제도, 그리고 그 평가와 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법연구 / 34권 / 3호 / 3 ~ 41페이지
    · 저자명 : 박정훈

    초록

    환경적 조치에 있어 과학적 지식이 충분하지 않아 대책의 필요성이나 타당성에 관해 확실한 증명이 없다고 해도 어떠한 형태로든 관리대책을 강구해야 하는 것은 환경문제의 특징이다. 이때 관리대응책을 마련함에 있어서는 의사결정과정에서 이해관계자참여 및 그 전제로 ‘환경정보공개’가 중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국의 경우 오래 전부터 환경정보공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종합적·체계적인 법제화를 진척시켜 가장 모범적인 환경정보공개제도를 구축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근로자의 안전확보를 목적으로 노동환경의 사후적 규제에서 출발하여 사전적 규제제도로서 유해화학물질 배출목록제도(TRI)가 정착되었으며, 정보공개의 일반법으로서 1966년 정보자유법(FOIA)을 입법화함으로써 「누구나」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는 정보공개제도의 기본골격을 완성하였다. 또한 FOIA에 근거한 EPA규칙, 그리고 대기오염정화법(CAA) 등과 같은 개별 환경법을 제정함으로써 환경정보공개는 더욱 강화되었다. 이들 환경정보공개와 관련된 법제들은 법이념으로서 ‘알 권리’에 기초하고 있는 공통점이 있으며, 더욱이 환경영역에서 발단이 되어 시민소송을 도입함으로써 미국의 환경정보공개는 실무상으로도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자기완결적 제도라고 볼 수 있다. 특히 TRI제도는 환경관리에 있어 오염원 발생 자체를 사전예방 관리체계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환경시설 기업의 자발적·유도적 참여를 통한 환경정보공개 그 자체에 특화된 제도로서 지역주민이나 NGO까지 포함한 환경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개념에 입각한 가장 획기적인 환경오염방지책으로 평가받아 오늘날 OECD회원국의 권고사항으로 발전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정보공개의 일반법으로서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환경정책기본법’을 비롯하여 ‘환경영향평가법’ 등과 같은 다수의 개별 환경법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른바 한국판 TRI제도의 근거가 되는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서 환경정보공개를 부분적으로 제도화하고 있으나, 실제로 각 법령을 분석해 보면 환경정보가 지닌 다른 정보와 차별적 특징을 반영하였다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음은 물론 환경문제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이해관계인 참여의 전제조건을 충족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problem is to provide any form of the resolution of management even without a sufficient evidence on necessity or validity since scientific knowledge in the environmental measure is not sufficient. In order to take measures on the response of management, the interested parties’ participation during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and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under their involvement become important.
    In case of the US with said prospective, it had alrea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long before, and it developed and established the universal and systematic laws. In the US, people have constructed the most exemplary system of the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laws, it was the regulation after the fact to warranty the safety of employees. It changed into the toxic substances release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as ‘TRI’ as one of the regulation before the fact. It has completed the basic form of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which any person can claim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of 1966. What is more, establishing the regulation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nd individual environmental laws such as Clean Air Act and etc made the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strengthened. The common of the laws related to the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based on the right to know as the ideology of laws. Besides, they introduces civil suit on the violation of the said laws and they are the system of self-conclusion to secure the effectiveness in practice. Especially, the system of TRI makes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against the release itself of the source of pollution the prevention system of management before the fact. Furthermore, it is a customized system on the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through the voluntary and derivative participation of companies which operate the environmental facilities. OECD even recommends other countries to introduce TRI system as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hereinafter referred as ‘PRTR’) since TRI is evaluated as the most epochal method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under the conception of communication of the environmental risk including a local community 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
    To conclude, the Republic of Korea has established a lot of separate, environmental laws as a general law on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such as laws on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of public institute, the basic law of environmental policy, the environmental effect evaluation law and etc. What is more, the toxic substances management law partly introduces TRI system. However, these laws in practice have a limit since they did not adopt the discriminatory characteristic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gener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y are not sufficient to fulfill the prior condition as the interested parties’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a decision-making.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