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윤석의 義盈庫 仕宦期 의영고의 위상—『頤齋亂藁』를 중심으로— (Status of the Euyeonggo (義盈庫; Royal Procurement Services) during Hwang Yun-seok’s Service: From Citations in the Yijaenango (頤齋亂藁))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3.02
22P 미리보기
황윤석의 義盈庫 仕宦期 의영고의 위상—『頤齋亂藁』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8호 / 359 ~ 380페이지
    · 저자명 : 정욱재

    초록

    이 글은 황윤석의 『이재난고』를 통해 18세기 의영고의 위상과 다양한 모습을 살펴보았다. 의영고는 고려후기에 명칭이 등장한 관청으로 조선시대에 들어와 왕실공상에 참여하는 공상아문의 하나로 호조의 종5품아문에 속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의영고의 위상은 낮아져서 主簿가 주재관이 된 종6품아문이 되었고, 1882년에 혁파될 때까지 종5품아문으로 회복되지 못하였다. 『이재난고』를 통해 본 의영고는 관찬자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현실적인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다. 의영고의 세 관원, 즉 주부는 國忌日에 素膳을, 직장은 대궐 안에서 龍枝와 기름(油)을, 봉사는 黃燭을 각각 진배하는 것을 주관하는 등 각자의 업무가 원칙적으로 각각 달랐다. 그러나 황윤석이 근무하던 당시에는 업무 분장에 상관없이 해당일에 입번하는 사람이 의영고의 직무를 처리하고 그 책임도 입번자가 담당하는 관습이 생겼다.
    공상물자를 마련하는 방식도 공안에 기재된 토산 현물을 지방에서 수취하거나, 아문에 속한 장인을 통해 물품을 직접 제작하여 궐내에 진배하던 조선전기와 다르게 18세기 의영고는 공인을 통해 소요 물품을 납품받는 형태로 전환된 모습을 보였다. 공물아문에서 담당하던 공물 관리와 조달의 업무가 공인에게 전가되면서 의영고에 비축된 공물은 없고 장부만 관리하면 되는 당대의 상황은 조선전기에 없던 장무서원을 출현하게 만들었다. 즉 현물관리가 아닌 장부 관리가 주요한 업무가 되었기 때문에 장부관리와 문서행정을 위한 전문적인 사람이 더욱 필요한 것이다. 17세기 전반기까지 등장하지 않았던 掌務書員이 1768년 7월부터 1769년 6월까지 황윤석이 근무한 의영고에 마치 정식 직원처럼 등장하게 된 것은 이런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것이었다. 19세기에 편찬된 「육전조례」에 장무서원이 의영고 소속 서리로 공식 기재된 것은 이런 당대의 현실을 반영한 것에 불과하였다. 『이재난고』는 관찬자료에서 미처 포착할 수 없는 시대적 변화의 단면을 수록하여 조선후기 역사상을 현장감 있게 파악할 수 있는 단서를 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views the status and various aspects of the Euiyeonggo (義盈庫) in 18th century as cited in the Yijaenango (頤齋亂藁) by Hwang Yun-seok. The name of Euiyeonggo, the Royal Procurement Office and Hwang's first office in Hanyang, was first seen in the articles of late Goryo period. The Euiyeonggo was then designated as a branch of the Ministry of Taxation (Hojo; 戶曹), Amun in the 5th Jong rank, led by officials of Ryeong (令) rank, to manage oil, honey, yellow beeswax, vegetables (素膳), and peppers, etc. However, after the Imjin Invasion, the status of Euiyeonggo was demoted to the 6th Jong rank led by lower officials in the rank of Jubu (主簿) instead of Ryeong, and never recovers its former status until the reform in 1882 (19th year by the reign of King Gojong). Thus the Euiyeonggo as described in the Yijaenango shows more realistic aspect of the era never seen in the official documents. First of all, the Yijaenango shows that the 3 ranks of Jubu, Jikjang (直長), Bongsa (奉事) managed different tasks. The official documents dictate that the Jubu manage delivery of vegetables for Royal Memorial Day services, the Jikjang managed delivery of Yongji (龍枝) and oil in the palace, and the Bongsa delivered yellow beeswax candles (黃燭). However, according to Hwang, the officials on duty took charge of the entire duties of the Euiyeonggo, regardless of their ranks and designated duties.
    The procurement of supplies by the Euiyeonggo also chang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Gongsangamun, or the Ministry of Royal Procurement, received local supplies in the official documents, or allocated products by royal artisans in the palace. However in 18th century, with no royal artisans in the Amun, the Euiyeonggo received its supplies from local and private artisans and traders. As its function of production and procurement was ascribed to local artisans and traders, the Euiyeonggo had to hire its own Jangmuseowon (掌務書員), or the Royal Accountant, for more professional management of it accountants and documentations. The fact that the Royal Accountant appeared during Hwang's tenure in the office from July 1768 to June 1769, is a reflection of such changes. In other words, the designation of Jangmuseowon officials as official members of the Euiyeonggo, is only the reflection of such trends in 19th century Joseon, and the Yijaenango, a personal accounts, gives more detailed clues on the reality of the late Joseon than official documents of the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