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연생태계를 활용한 효율적 에너지 생산 및 절감 제품디자인 연구 (A Study on Efficient Energy Product & Saving Goods Design Utilizing Natural Eco System)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6.09
14P 미리보기
자연생태계를 활용한 효율적 에너지 생산 및 절감 제품디자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2권 / 3호 / 143 ~ 156페이지
    · 저자명 : 남미경

    초록

    본 논문은 자연생태계 기반 디자인의 발생과정과개념⋅기술⋅형태에 의한 분류, 효율적 에너지 생산⋅ 절감 제품디자인 유형의 분석과 발전적 전망을 토대로 향후 다양한 영역에서 효율적 에너지 생산⋅절감제품디자인이 개발될 수 있도록 이론적이고 체계적인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는 자연생태계 기반 디자인 발전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개념⋅기술⋅형태에 의한 분류, 효율적 에너지 생산⋅절감 제품디자인 유형 분석, 그리고 자연생태계 활용의 지속가능한 제품디자인 개발과발전을 위한 효율적 에너지 생산⋅절감 제품디자인에대한 방안 및 전망에 대하여 논하며 결론에 이르고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생태계 기반 디자인의 발전은 1930년대의‘유기적디자인’, 1970년대의 ‘모든 인간을 위한 디자인, 1990년대 환경생태 보존을 통한 사회적 이익 추구의 ’ 그린디자인’, 그리고 2000년대 이후 다음 세대를 위한자연⋅환경생태 혜택의 보존과 향유 지향의 ‘지속가능디자인’으로 이어져 왔다.
    둘째, 자연생태계 기반 디자인의 유형은 일상적 생활환경영역에서 사용자가 자연을 감성적으로 향유할수 있도록 의도된 인간⋅자연 교감 디자인과, 제품의구조⋅원리⋅소재⋅기술에의 적용에 포커스가 맞춰져있는 자연모방디자인 등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 되어진다.
    셋째, 효율적 에너지 생산을 위한 디자인은 태양⋅ 바이오⋅풍력⋅수력⋅지열 등에 의한 신재생에너지와운동 에너지에 의한 키네틱에너지가 대표적이며, 에너지 절감을 위한 디자인은 에너지 절약 행동을 자연스럽게 잠재적 습관으로 이어지게 유도 하는 제품디자인이 대표적 인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넷째, 인간과 자연, 그리고 문명의 공존을 추구하며현재보다 미래지향적인 관점으로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인간⋅자연 교감 디자인과 생체모방디자인은 효율적 에너지 생산⋅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디자인적접근방식으로서 향후 더욱 큰 관심을 받게 될 것으로전망⋅분석되어졌다.
    본 연구가 효율적 에너지 생산⋅절감에 의한 지속가능디자인제품 개발과 향후 자연생태계 활용 제품디자인시장의 확대를 위한 이론적⋅체계적 분석 자료로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designed to offer theoretical data and definite analysis materials for extensive development of efficient energy producing⋅saving goods design in diverse areas by considering about development design process of natural eco system, classification of design types based on natural eco system by concept⋅ technology⋅ form, and an analysis on the category of efficient energy producing⋅saving goods design discuss with its advanced perspective.
    Main scope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a theoretical study on a development design progress of natural eco system and classification of design categories by concept⋅ technology⋅form, an analysis on types of efficient energy producing⋅saving goods design, and finally come to the conclusion through a considering about efficient energy producing⋅saving goods design with future plan and prospect for developing sustainable product design utilized natural eco system.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development of design based on natural eco system started with an ‘Organic Design’ in 1930s, next of it goes on ‘Design for All’ in 1970s, ‘Green Design’ for societal benefit through conservation of natural eco system in 1990s, and continuing on ‘Sustainable Design’ aimed for conservation and possess of advantages from nature⋅eco-system to next generation after 2000s.
    Second, design based on natural ecosystem categorized with two types as a human⋅nature connection design intended to enjoy nature by emotional concept around daily life, and a biomimicry design focused on applying with structure⋅fundamental⋅ material⋅engineering system to a product.
    Third, a renewable energy design by solar⋅ biomass⋅wind-power⋅hydro-power⋅geothermal energy, and a kinetic energy were represented as an efficient energy producing goods design, and product design lead to unconscious energy reducing habits could be a representative efficient energy saving goods design above all.
    Fourth, human⋅nature connection design and biomimicry design would have crossed over to mass appeal as a representative design approach method for efficient energy producing⋅saving product intend to sustainability create balancing between human⋅ nature, and civilization with future-oriented point of view more than now.
    It wa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theoretical⋅systematic data for developing sustainable design product applied witn an efficient energy producing⋅ saving method, and expanding the marketability of a product design utilizing natural ecosystem in domestic and abroa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