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월경(越境)음악의 문화번역: 동시대 남한 전통음악계의 북한음악 (Cultural Translation of a Multiple Border-Crossing Traditional Music: North Korean Music in Contemporary South Korea)

6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0.06
65P 미리보기
월경(越境)음악의 문화번역: 동시대 남한 전통음악계의 북한음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이화음악논집 / 24권 / 2호 / 175 ~ 239페이지
    · 저자명 : 김희선

    초록

    분단 이후 남한에서 북한을 대하는 태도는 반공주의에 기반 하였고 전통음악분야에 있어서도 북한의 음악은 이념적으로 변질된 전통으로 치부되었다. 1985년부터 남북전통예술교류가 간헐적으로 진행되었으나, 공식적 차원을 넘어서는 민간교류는 진척이 없었다. 이런 가운데 2000년대 이후 북한의 악기 및 악곡, 이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남한 전통음악계에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동시대 남한 전통음악계의 음악풍경의 일부가 된 북한음악 이동의 배경, 경로, 및 행위의 물질적 결과를 고찰하고 이에 대한 해석을 시도한다.
    현재 남한 전통음악계에 등장한 북한음악은 대피리, 저피리, 장새납, 소해금, 옥류금, 퉁소, 양금 등의 개량악기와 《아리랑 환상곡》, 《출강》등 북한 작곡가의 창작곡, 월북 연주자들의 전승 산조와 북한지역의 민요 등이다. 이들 음악은 분단이후 북한음악을 전승해 온 일본 자이니치와 연변 조선족 등 디아스포라 음악가들을 매개로 월경(越境)하여 남한 전통음악계에 소개되었다. 북한음악의 등장은 그간 ‘순혈성’과 ‘정통성’ 을 중심으로 보수적 연행에 치중해 온 국악계에 긴장을 가져왔다. 그러나 탈냉전과 지구화의 유화적 분위기 속에서 본국의 전통음악계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한 디아스포라 예술가들, 대안적 연행에 관심을 가진 진취적 남한 연주자들, 그리고 새로운 소리에 반응한 청중/시장은 북한음악을 남한 전통음악의 제도권 안으로 빠르게 흡수했다.
    이념, 국경, 문화의 경계를 넘나든 북한음악의 초국적 이동은 전지구화로 촉발된 지역 평화와 관련한 정치학과 트랜스 로컬의 흐름을 배경으로 한다. 남한으로 이동한 북한음악은 이념성이 지워지고, 남한 전통음악계의 필요와 요구에 따라 통일음악, 겨레 음악, 한민족음악으로 호명되어 민족 동질성의 표상으로 재정립되는 과정을 경과했다. 그러나 남한에서 북한음악의 위치는 여전히 위태롭고 불안하다. 북한 개량악기는 개량 국악기의 대체재로, 미완의 국악 현대화의 보완재로 정위되었으며, 악기와 음악의 수급은 여전히 개인들의 인적 네트워크에 의존한다. 디아스포라 연주자들은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드러내기보다 북한음악의 전승자로 역할에 한정된다. 이들 음악은 특정 방식의 ‘북한음악’이라는 고정된 시선으로 타자화 된다. 무엇보다 여전히 유효한 남북관계의 정치학은 남한에서 북한음악에 대한 관심의 경계를 결정짓는 요인이 된다.

    영어초록

    South Korea’s view of North Korea since the Korean War has been based on anti-communism. From that perspective, North Korean musics have been seen as ideologically spoiled. Although exchange between the two Korea’s traditional arts occurred intermittently since 1985, no meaningful progress was made in exchange within the private sphere. However, in the 2000s North Korea-oriented modified musical instruments and pieces as well as players began to appear.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s, paths, and results of North Korean musics’ inclusion in the South Korean soundscape and attempts to analyze this phenomenon.
    North Korean music-related elements currently appearing in the world of traditional music in South Korea include several improved instruments such as daepiri, jeopiri, jangsaenap, sohaegeum, ongnyugeum, tungso and yanggeum as well as North Korean composer’s new compositions like Arirang Fantasy and Chulgang. Sanjo transmitted by player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during the War period as well as folksongs of the northern part of the peninsular are also performed. These have been introduced through diaspora-musicians (including Korean-Japanese Zainichi, as well as Korean-Chinese Chaoxian artists) who had been transmitting North Korea-rooted musics. The emergence of North Korean musics created a tension within the South Korean traditional music world that had been focusing on a conservative type of performances based on “purebloodness” and “authenticity.” However, in the post-Cold War context and with globalization, diasporic artists who had been seeking new opportunities on the motherland’s stages, South Korean instrumentalists who had been interested in alternative forms of performance, and audience/markets that responded to new sounds, rapidly brought North Korean music into the system of South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transnational movement of North Korean music that has crossed ideological, state, and cultural boundaries emerged from the background of the new politics related to peace issues, as well as trans-local flows sparked by globalization. North Korean music in the needs of South Korean music scene removed its ideological elements and was then translated as tongileumak (lit. unification-music), gyeoreeumak (ethnic music), and hanminjokeumak (Korean ethnic music) and was thereby redefined as a sign of ethnic homogeneity. However, the status and location of North Korean music in South Korea is still precarious and unstable. North Korea-modified instruments are treated as substitutes for or complements to South Korean ones as part of the uncompleted modernization process of traditional music. The supply of musical pieces and instruments is still based on personal networks among individual artists. Diasporic instrumentalists are required to take a limited role (i.e, as transmitters of North Korean music) rather than reveal their diasporic identities. North Korean musics are “otherized” by a specific, fixed view of “North Korean music.” In addition, the politics of North-South relations still function as a defining factor of the boundaries of interest in North Korean music within the territory of South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