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관념의 시쓰기와 몸의 현상학 - 김기택의 시세계 - (The writing method of non-conceptional and phenomenology of body — In Kim Gi-Taek's poetry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08.12
25P 미리보기
탈관념의 시쓰기와 몸의 현상학 - 김기택의 시세계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58권 / 509 ~ 533페이지
    · 저자명 : 이연승

    초록

    90년대 이후 우리 문학에서 몸은 디지털과 아날로그적인 것의 흔적이 동시에 드러난다. 그 몸은 빠름과 느림, 인공과 자연, 환상과 현실, 불연속과 연속, 억압과 해방 등이 끊임없이 교차하는 존재의 장인 것이다. 탈관념의 시쓰기를 실천하는 김기택의 작품들은 자본주의 사회의 내재적인 비판을 수행하는 동시에 어떤 변화와 생성의 힘을 내포한 실천적인 텍스트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이성의 억압을 깨고 나오는 몸은 그 자체로 중립적인 것이 아니다. 몸은 다양한 문화적 서사와 담론에 의해 재구성되며 지배담론에 의해 식민화되고 허구화된 구성물로 존재하는 것이다. 인터넷으로 표상되는 가상현실 기술은 인간이 몸에서 상상할 수 있는 능력마저 빼앗아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인간이 몸담고 있는 사회적 시공간은 과학 기술을 정점으로 해서 기술의 위력을 검증하고 찬양하며, 또 과학기술의 정점을 향해 수축하고 폭주한다.
    김기택 시의 새로움과 한계는 여전히 몸에 있다. 몸은 단순히 생물학적 차원에서만 존재하지는 않는다. 몸과 욕망이 만나면 욕망은 욕망으로만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욕망은 결핍과 보완을 통해 몸화되는 것이다. 욕망의 몸화란 욕망이 몸과의 살아있는 접촉을 통해 몸이 담고 있는 인간의 내우주(Endokosmos)의 구조, 즉 인간이 단지 몸과의 접촉을 통해 체험하는 우리 몸적 조직의 무한 복합체인 내우주를 밝힌다고 할 수 있다.
    90년대 이후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김기택은 인간의 몸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통해 탈관념적 시쓰기를 밀고 나간다. 그것은 추상화 과정에 의해 사물이나 현상의 본질을 놓치는 개념적 사유와는 달리 타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원초적 인식 방법이기도 하다. 그의 독창적인 시쓰기 방식과 새로 인식하여 보여주는 세계는 거부할 수 없는 진실을 새로 인식하게 하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그의 시쓰기는 기존의 상징체계와 관념체계를 벗어난 곳에서 자기 몸으로 체험하는 세계를 받아들이며, 감관(感官)으로 이를 인식하고 새로운 세계의 의미를 생성해나가는 글쓰기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유가 가능했기에 김기택은 소재주의적인 몸을 넘어서는 생생한 시의 이미지와 시의 형식을 발견한다. 삶과 죽음, 현상과 본질, 개방과 폐쇄, 수축과 이완같은 대립항들은 모두 몸을 구현하는 역동적 언어에 의해 가능하다. 시인은 이러한 대립항들을 개념적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탈관념적․탈형이상학적 시쓰기에 의해 비로소 전유(專有)하게 된다. 김기택이 그동안 발간한 네 권의 시집을 관통하는 시적 주제는 큰 편차를 보이지 않지만, 관찰과 묘사에서 시작한 그의 시선은 생명의 흔적과 근원에 대한 성찰로 확대됨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계몽이성의 시선에 의해 허구화된 몸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거부와 일상성에 대한 미세한 통찰, 몸의 감각을 포착하는 뛰어난 감성과 언어화의 방식은 우리 시에 새롭게 열린 지평이라는 점에서 주목받아야 한다. 이러한 언어화의 방식과 감성으로 인해 김기택은 몸이 갖는 실체의 모습을 보여주어 탈근대적 사회의 모순을 직시하고 나아가 우리 시가 나아갈 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analyze Kim Gi-Taek′s poetry. In this paper I attempt to discuss the body-discourse represented in Kim Gi-Taek′s poetry. He pursues an elaborate dynamic imagination, a delicate observation and a careful expression.
    Kim Gi-Taek receives all living-things and phenomeon from the recursion structure base on an organic view of world. Kim Gi-Taek′s writings don't present a existing concepts of human which is captured with a deal, notion, moral. His poetry make up nature features and original figures of human in realities of life.
    So it enhance the value of human's primarial existence and it makes free that human's natural instinct. The new prescription of human beings that shows metaphysical concepts transfer phisics images, concepts crash realities of existence. His insight about world doesn't stay viable phenomenon and spreads out internal structure and abyss. The body discourse, incorporated in the clear phenomeonology body, is the contrasting world represented by all most his text. Kim Gi-Taek elastically construct the vital world by his insight, images, and mutual intera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