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불교계의 보조지눌에 대한 인식과 계승 (Ven. BojoJinul, The history book of Korean Buddhism, Modern Buddhist Studies,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 Ven. Kyung-heo, Ven. Hanam, a textbook for the modern monk.)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0.03
34P 미리보기
근대 불교계의 보조지눌에 대한 인식과 계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56호 / 9 ~ 42페이지
    · 저자명 : 김경집

    초록

    보조지눌의 송광사 정혜결사 이후 그의 수행과 저술은 당대는 물론 현재까지 계승되면서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 가운데 근대에 이르러 보조지눌의 인식은 남달랐다. 조선후기 배불정책에서 벗어나고 외부로부터 들어온 서구문물에 힘입어 자강의식이 고조되면서 한국불교의 정체성에 대해 인식이 생겨났다. 그런 경향은 한국불교사와 불교계에 많은 영향을 준 인물들을 정리하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그런 평가 가운데 보조지눌은 누구보다도 한국불교 중흥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그의 사상과 실천 또한 근대 불교계의 수행 정립과 도제양성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먼저 불교인 스스로 불교역사와 인물을 정리한 근대 불교사서 속에 나타난 보조지눌의 서술과, 그리고 근대 불교학 연구자에 의해 축적된 불교사학 속에 나타난 보조지눌의 시대적 위상과 평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불교인 스스로 수행을 진작시킬 때 보조지눌의 정혜결사를 어떻게 수용하고 계승하였는지, 그리고 새롭게 형성된 불교계의 후진 양성을 위해 보조지눌의 저술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런 연구결과 근대 편찬된 불교사서의 보조지눌의 서술은 보조국사비의 내용을 답습하는 양상이었지만 그런 과정에서도 찬자들은 보조지눌을 한국불교 조계종의 개조로 보았고, 이는 앞서 구산선문을 계승한 것이며 이후 한국불교 조계종의 본령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불교계에 근대적 교육이 도입되면서 시작된 불교사학은 보조지눌에 대한 역사적 위상을 서술하기 시작하였다. 그런 평가에 의하면 보조지눌은 고려후기 불교계의 혼란과 침체에서 조계선풍을 진작시켜 독립의 종을 연 중흥조이며, 이런 보조지눌의 종지는 禪門의 참학자들이 계승하여 조계종풍이 모두 부흥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근대 보조지눌의 정혜결사는 경허와 한암의 결사운동에 잘 나타나고 있다. 경허는 조선조의 배불정책에서 법맥이 상실되었던 때 보조지눌의 사상을 계승하여 한국 근대불교를 중흥시켰고, 한암은 건봉사에서 보조지눌의 사상을 바탕으로 결사운동을 펼쳐 한국 근대불교의 실천방향이 명실상부 보조지눌의 계승이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보조지눌의 저술 가운데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와 『계초심학인문』은 근대 강원교육에서 꾸준히 강학되었다. 그리고 『수심결』, 『진심직설』, 『정혜결사문』, 『간화결의론』은 선수행의 지침서로 발간한 『선문촬요』에 수록되어 수행자의 지남이 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책이 경허에 의해 범어사에서 간행된 것으로 볼 때 선풍진작운동과 관련이 깊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지눌 인식과 계승을 살펴볼 때 보조지눌의 사상과 저술은 한국 근대불교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Ven. Boinul performed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at Songgwangsa Temple during the Goryeo Dynasty. His ideas and writings have been inherited to this day and greatly influenced Korean Buddhism.
    Joseon Dynasty began a friendly policy toward Buddhism The modern times. Western literature came from outside and people's self-consciousness has increased. Korean Buddhists began to think about their identity.
    Buddhists began to organize the people who influenced Korean Buddhism. Modern Buddhists chosed the Ven. BojoJinul as a person who influenced Korean Buddhism. His ideas and practices had a great influenced on modern Korean Buddhism.
    This paper focuses on the following. Modern Buddhists summarized history and monks. This is the history book of Korean Buddhism. The writers regarded the Ven. BojoJinul as a great monk. Modern Buddhist scholars also evaluated the Ven. BojoJinul. They were concerned with the role of the assistants in their time.
    They were interested in the succession of the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 and his writings that influenced the Korean Buddhist world. They thought that the Ven. BojoJinul was an important monk in Korean Buddhist Jogye-Order. They thought the Jogye-Order flourished by the Ven. BojoJinul. The evaluation of the Ven. BojoJinul of modern Buddhist history is similar. He is a contributor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Ven. BojoJinul’s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 was re-executed by the Ven. Kyung-heo and Hanam in modern times. His writing was used as a textbook for the modern monk. In this regard, the Ven. BojoJinul had a great influence in establishing Korean modern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