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도래계 사원과 백제 유민의 동향 2 (New Archaeological Research on Early Buddhist Temples in Japan Related to Baekje Immigrants, Part II)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3.12
36P 미리보기
일본의 도래계 사원과 백제 유민의 동향 2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39호 / 195 ~ 230페이지
    · 저자명 : 이병호

    초록

    이 글은 백제 멸망 이후 일본의 고대사원에 영향을 미친 백제 유민의 동향과 관련하여 飛鳥・河內・山背・九州 지역의 도래계 사원에 관한 최근의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Ⅱ장에서는 7세기대 飛鳥 지역의 도래계 사원에 대해 검토하였다. 도래계 씨족 출신인 道昭가 개창한 飛鳥寺의 東南禪院에서는 竹狀模骨을 이용한 기와가 확인되는데 이러한 기와와 백제 지방산성에서 출토된 기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또 飛鳥 지역의 왕궁과 공방, 연못 등의 배치가 익산이나 부여 지역의 그것과 유사하다고 보았다. 川原寺에 대해서는 왕궁이 사원으로 바뀐 점이나 삼면 승방을 가진 가람배치, 소조상, 녹유제품 등이 백제와 연관된 것으로 생각된다. 飛鳥의 대표적인 도래계 사원인 檜隈寺의 경우 와적기단을 비롯하여 火炎文瓦當 등이 백제 지역에서 출토된 유적・유물들과 연관되며, 시기적으로 7세기 후반대에 속하기 때문에 백제 유민의 활동과 연관될 수 있다고 보았다. Ⅲ장에서는 河內・山背・葛城・九州 지역의 도래계 사원에 대해 검토하였다. 河內 지역의 경우 新堂廢寺를 비롯하여 王仁의 후예 씨족 사원인 西琳寺, 善正寺에서 출토된 와당들이 백제의 가람배치나 와당과 연관될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山背 지역의 경우 백제보다는 신라나 고구려와의 관련성이 더 높은 지역이다. 秦氏와 관련이 깊은 樫原廢寺의 팔각형 목탑지와 고구려계 씨족과 관련이 깊은 高麗寺에서는 백제 사원과 관련이 깊은 와적기단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와적기단의 도입 과정이나 그 계통, 확산 과정이 매우 복잡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葛城 지역의 경우 二光寺廢寺에서 출토된 전불을 통해 백제 유민의 구체적인 활동 모습을 추정할 수 있고, 朝妻廢寺의 경우 飛鳥池遺蹟에서 출토된 목간을 통해 도래계 씨족들의 활동 모습을 추정할 수 있다. 九州 지역의 경우 조선식산성 내부에서 출토된 금동불이나 와당과 같은 자료의 검토를 통해 백제 멸망 이후 유민의 활동에 대한 보다 더 구체적인 추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recent archaeological research on early Buddhist temples related to the immigr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located in the Asuka, Kawachi, Yamashiro, Kyūshū reg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influence on Japanese Buddhist temples after the fall of the Baekje kingdom.
    The second section deals with the seventh century sites in the Asuka region. Of particular importance is the type of roof tiles made with bamboo-patterned molds excavated from the Asukadera’s southeastern meditation precinct, which was established by Dojou, who was from an immigrant clan. A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their relation with the roof tiles discovered in the regional mountain fortresses in Baekje. In addition, it is pointed out that the layout of palace, workshops, and ponds in the Asuka region is similar to those in the Iksan and Buyeo areas. Baekje-related features are also found in Kawaradera. They include clay sculptures and green-glazed artifacts. Moreover, Kawaradera was founded by transforming a palace complex into a Buddhist temple, and in its plan the monks’ quarters were located in the north, east, and west sides of the lecture hall. It is notable that their parallels can be found in Baekje. In the case of Hinokumadera, the most important immigrants-related temple in Asuka, the roof tile foundation and roof tiles decorated with flame design discovered at the site are comparable to the finds in Baekje. Considering that the date of the temple is presumed as the latter half of the seventh century, it is likely that the Baekje immigrants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The third section examines the temples in the Kawachi, Yamashiro, Katsuragi, and Kyūshū regions. In the case of the Kawachi region, the temple plans and roof-end tiles found in Shindou Haichi, Sairinji(clan temple of Wanni’s descendants), and Senshouji show their close connection to the Baekje temples. The Yamashiro region is known to have been linked more closely with Silla and Gorguyeo than Baekje. In this context, it is notable that the roof tile foundation, which is one of the major Baekje-related feature, was discovered in the octagonal pagoda site in Kadagihara Haichi associated with Hatauchi and also in Komadera, whose establishment is believed to have been related to certain Goguyeo clans. This suggests a possibility that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of the roof tile foundation was more complicated that previously assumed.
    The Baekje immigrants’ contribution to the region’s Buddhist culture is tangible in Katsuragi, where clay plaques with Buddhist images were found in the Nikoji Haichi site. In the case of Asatsuma Haichi, the wooden slips from Asukaike site serve as significant soucres for the history of the Baekje immigrants. In the Kyūshū area, gilt-bronze Buddhist images and roof-end tiles were found in the Korean-style mountain fortresses, and they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Baekje immigrants after the fall of the Baekje king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