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松桂懶湜의 문학 세계와 지역적 기반 (Songgye Na‐sik’s Literary World and it’s Local Ba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03
28P 미리보기
松桂懶湜의 문학 세계와 지역적 기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62호 / 9 ~ 36페이지
    · 저자명 : 김종진

    초록

    이 논문은 松桂懶湜(1684~1765)의 『松桂大禪師文集』에 나타난 문학 세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선행 논문에서 미진하게 다루어진 사상적 면모와 그 시대성, 불가 내의 문학 교유 양상 및 문학지리학적 측면에 주안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송계대사는 숙종~영조 연간에 안동 봉화사에 주석했던 인물로서 喚醒志安(1664~1729)과 落巖義訥(1666~1737)에게 참학하였다. 대사의 휘하에 많은 제자들이 있거나 저술을 남긴 것은 아니나, 조선후기 교학의 수준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강원의 이력과정을 충실히 이수함으로써 자신의 사상적 기반을 마련했고, 화엄학을 연찬하여 「華嚴經七處九會品目」을 편찬하기도 하였다. 만년에는 정토신앙에 귀의한 것도 확인된다. 이를 통해 대사의 삶과 저술, 사상적 경향이 선․화엄․정토의 三門兼修라는 18세기 한국 불교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대사는 시문을 꾸준히 연마하여 자신의 문학 세계를 구축해 나갔고 그 결과가 문집에 반영되어 있다. 송계대사는 평생 수행자의 길을 걸어가면서도 한편으로는 조선후기 영남의 안동이라는 특정한 시공간에서 문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구현해 나간 인물로 그려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Songgye Na‐sik’s(松桂懶湜, 1684~1765) literary world based on Priest Songgye’s Anthology(松桂大禪師文集). In consideration of the insufficiencies of the only previous study on Songgye’s literature, this study was focused on his ideological character and its historicity, the trend of literary exchange in the Buddhist circle, and the literary geographical aspect of his literature.
    Priest Songgye was the head of the Bonghwa‐sa Temple in Andong during the years under the rule of Kings Sukjong and Yeongjo, and learned from Hwanseong Ji‐ahn(喚醒志安, 1664~1729) and Nakam Eui‐nul(落巖義訥, 1666~1737). The priest did not have many students under him nor leave numerous writing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t doctrin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he completed the scripture learning courses faithfully and laid the ground of his philosophy. In addition, the afterword of Hwaeomgyeongchilcheogupumhoipummok (華嚴經七處九會品目跋) shows that he compiled the book under his teacher’s instruction. What is more, he is known to have devoted himself to belief in the Pure Land in his late years. Given these backgrounds, the priest’s life, writings, and ideological tendencies pursued all of Zen, Hwaeom, and the Pure Land together, and at the same time,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in the 18th century.
    The priest steadily cultivated himself in poetry and established his own literary world, and all the outcomes were fully reflected in his anthology. Priest Songgye walked the road of a learner throughout his lifetime but, on the other hand, he established his identity as a literary man in the specific time and space of Andong, Yeongn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