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련 지운영의 불교계 활동과 관음보살도 연구 (A Study on the Buddhist Activities of Ji Un-yeong and His Painting of “Avalokitesvara”)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8.06
21P 미리보기
백련 지운영의 불교계 활동과 관음보살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23호 / 93 ~ 113페이지
    · 저자명 : 최엽

    초록

    白蓮 池雲英(1852~1935)은 조선 말에서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인물로 독특한 이력을 가진 서화가이다. 그는 일본에서 사진술을 배우기도 하고, 김옥균 암살 시도로 인하여 유배에 처해지는 등 굴곡이 많은 삶을 살았다. 또 서화가로서도 유명하여 시서화삼절로 알려져 있었으며, 유불선에 두루 능통하였다고 전한다.
    본고에서 다룬 지운영의 <관음보살도>는 그가 남긴 얼마 안되는 불교 관련 작품 중 하나이다. 이 그림의 도상은 조사결과 중국 절강성 보타산에 남아있는 역시 당대 유명 화가였던 염립본의 관음보살 석각의 도상과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도상과 더불어 섬세한 필선과 아름다운 담채의 채색은 그의 불교 관련 작품들 중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지운영의 <관음보살도>의 상세한 고찰은 중국 당대 유명 화가인 염립본의 관음보살도 도상이 한국 근대기 서화가에 의해 구현되었다는 점과 더불어 지운영의 <관음보살도>의 도상적 근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의 작품으로 인해 그간 국내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염립본의 관음보살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점에서도 이 작품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논의를 통해 격변기인 근대기를 지냈고, 다재다능했지만 파란만장한 인생을 살았던, 지식인인 동시에 서화가였던 지운영의 불교적 성향과 관련 작품에 대한 논의들이 보다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Ji Un-Yeong (a.k.a. Baengnyeon, 1852~1935) was a versatile artist who led a very eventful lif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1392~1910) to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His life was full of ups and downs as he learned photography in Japan and got involved in the attempted assassination of Kim Ok-Gyun (1851~1894), which led to banishment. In his heyday, he was revered as a master artist of "three perfections" - namely,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t the same time, he had a reputation as a scholar with profound knowledge i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Ji Un-yeong’s Avalokitesvara, the painting discussed in this study, is one of a few Buddhist paintings remaining today. The painting displays some remarkable similarities with the seventh century Tang painter Yan Liben in iconography and the image of the Buddhist deity engraved in Zhejiang Province’s Putuo Mountain. The masterful use of fine brush strokes and watercolors makes the painting one of his greatest Buddhist masterpieces.


    Regarding the Korean history of Buddhist art, it is significant that "Avalokitesvara" painted by Ji Un-yeong, a modern Korean artist, was inspired by the work of the same Buddhist saint created by Yan Liben, an ancient Chinese master artist. It is equally important that the painting is a rare example showing the influence of the renowned Chinese master upon the modern Korean art world.


    This study is expected to inspire further in-depth researches on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Buddhist art upon the life of Ji Un-yeong, a talented individual who dedicated himself to his art despite the turmoils of modern Korean history that disrupted his life from time to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