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촌계원 설문조사를 통한 어촌계 발전방향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Fishing Village Fraternity through Survey for its Member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7.08
18P 미리보기
어촌계원 설문조사를 통한 어촌계 발전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29권 / 2호 / 1 ~ 18페이지
    · 저자명 : 김대영, 이헌동

    초록

    이 논문은 현재 활력이 떨어진 어촌사회의 구심점인 어촌계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어촌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어업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발굴하였다. 이들 문제점에 대해 어업인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해결방향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어촌계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마지막으로 어촌계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정리하면서 어촌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어촌계는 지구별수협의 조합원이 참여하여 행정구역・경제권 등을 중심으로 조직한다. 2015년 기준으로 어촌계는 전국 연안에 2,018개가 산재하고 있는데, 지역별로는 전남 848개소, 경남 464개소로 전체의 65%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어촌계는 마을어업, 협동양식어업 등의 어업권을 이용하고 있다.
    현재 어촌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은 인력 감소 및 고령화 진전, 귀어인 등 신규인력에 대한 진입장벽, 어업권 어장의 이용․관리 부실, 신규 사업의 재원 및 운영능력 부족, 어촌계 지도․감독 기능 미 작동, 회계결산 및 어촌계장 선출을 둘러싼 내부 갈등 존재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어촌계의 당면문제들에 대해 어촌계들은 어떻게 인식하는지 파악하고, 어촌계 발전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전국 401개소 어촌계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촌계 설문조사는 어촌계 주 업종 및 어촌계원 연령, 어업권의 종류 및 이용 실태 등의 일반내용, 귀어・귀촌인에 대한 인식 및 신규가입 희망 시 절차와 귀어․귀촌인 등 새로운 인력의 어촌계 유입 필요성, 신규인력 유입에 대한 수용 및 미수용 태도 등을 내용으로 하였다. 어촌계 설문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고령화 문제와 진입장벽 등이 공통적으로 존재하지만, 대부분 어촌계에서는 어촌 활성화를 위해 신규인력 유입, 새로운 형태의 공동체로 개편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향후 어촌계가 활력을 되찾아 어촌지역의 구심점이 되기 위해서는 배타성과 폐쇄성에서 벗어나 개방과 협력이 전제된 공동체로 재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새로운 인력을 유입하기 위해 어촌계 가입자격을 조합원에서 귀어업인 등으로 확대하여 어촌계 구역에 거주하는 어업인이 가입할 수 있도록 제도 개편이 따라야 한다. 다음으로 어촌계 운영의 투명성 제고하기 위한 어촌계 정관 및 규약, 결산보고 등을 공개해 나간다. 또한 시・군・구 및 지구별수협에서 어촌계 역량 제고 및 지도・감독의 강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어촌계 사업수행 능력과 경영 마인드를 제고하기 위해서 지역 밀착형 지원조직((가칭)어촌공동체 활성화 위원회)을 구성하여 어촌계 경영진단, 영어계획 수립, 신규 사업 발굴, 경영 컨설팅 등을 실시해 갈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of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two countries-Korea and Japan were studied in comparison with each other for the period limited to from the inception of laver farming to the end of the 1960s. The laver farming technologies studied in this study were limited to the technologies used in the process of culturing in the sea excluding the technologies used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aver farming in Korea began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in the Gwangyang region in Jeonnam with ilbonhong (one rod laver bed) fascine culturing and laver farming in Japan began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pproximately 50 years later than Korea, in Tokyo Bay with ilbonhong fascine laver bed culturing.
    Second, with regard to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Korea by the time of restoration of national independence, in around 1850, fisherman Jeong Si-Won developed yeomhong (raft laver beds) made by weaving bamboos for the first time and at the end of 1920, Ganekko, the head of Jeollanam-do Fisheries Experimental Station improved the yeomhong into buhong (floating laver beds).
    In particular, in 1932, senalyeomhong (seumbal) was developed by fisherman Oh Byeong-Seok. The seumbal were widely spread as this technology solved problems in the previous buhong culturing technology to enable laver farming even in laver farms with strong winds and high waves.
    Third, with regard to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Japan until the end of the war(1945), the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the colonial Chosun such as the bamboo yeomhong (ttebal), horizontal raft buhong (jinebal: centipede laver beds), senal type yeomhong(seumbal) were not transferred to Japan and the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Japan remained at the low technology level of only ilbonhong culturing at the bottom. At the end of the 1920s, fixed horizontal laver farming at the bottom using straw rope nets, palm leaf nets, hemp palm leaf nets, and cotton yarns was tested many times but theses tests could not be given any particular meaning as the results were not linked to the industry.
    Fourth,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Korea hardly changed between 1945 and the end of 1960. However, the lengths of laver beds increased from 6∼8m in 1945 to 8∼11m by the end of the 1960s so that the laver farms were expanded to open ocean.
    Fifth,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Japan after the end of the war(1945), in the middle of the 1950s, along with artificial seedling collection, test culturing with palm net laver beds was successfully conducted and in 1958, floating lever bed culturing and pillar type laver bed culturing using the net laver beds were developed together. Thereafter, as innovative new farming technologies were introduce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seedling collection, vessel FRP, outboard mechanization, collectors, and glassware drye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hemical fiber net laver beds, a base for the development of laver farming technologies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the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Korea and Japan were compared separately by age, it was newly found out that whereas laver farming in Korea began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with ilbonhong fascine laver bed culturing and the pillar type jukhong(yeomhong) culturing technology developed in the 19th century (middle) was developed and upgraded into yeomhong, buhong, and senal yeomhong (seumba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Japan were static and did not get out of the category of ilbonhong fascine laver bed culturing. After the time of restoration of independence of Korea to the 1960s, the base of laver farming was formed centering on net laver beds that introduced the artificial seedling collection technology in Japan. However, the laver farming technology in Japan could never be said to have been advanced compared to that in Korea at least by that time. This author wishes to point out that correct perception of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Korea and Japan is necess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