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근대 불교계의 민족인식 (National Consciousness of Modern Korean Buddh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08.12
41P 미리보기
한국 근대 불교계의 민족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21권 / 297 ~ 337페이지
    · 저자명 : 김순석

    초록

    이 논문은 근대 불교계에서 민족의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두 단계로 구분하고 시기별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수용기의 특징은 서구 문물과 일본 불교계에서 파견된 포교사들로부터 또는 개화승들의 일본 방문을 통하여 민족을 자각하여 가는 시기지만 뚜렷하게 인식하지는 못하였다. 형성기는 일본 불교계의 위장된 친절과 단계적이고 교묘한 침략 정책에 불교계가 회유되는 모습이 나타기도 하지만 민족인식이 성숙되어가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임제종 설립운동과 같은 불교계 내부에서 일종의 민족운동이 일어난 사실에서 민족의식이 형성되어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불교계의 민족의식은 3․1운동이라는 거족적인 항일운동을 거치면서 선명한 모습으로 발현된다. 1919년 상해에서 발행된 「대한승려연합회선언서」는 일본의 침략 행위를 강력하게 규탄하였다. 한용운은 옥중에서 「조선독립에 대한 감상」이라는 명논설을 집필한다. 이 논설에는 일본의 침략 행위는 도의와 정의에 위반된다 점을 지적하였다. 조선이 독립하는 것은 하늘의 뜻이며 그것은 세계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전제조건임을 천명하였다. 이러한 사상은 민족주의의 틀을 넘어서 세계평화를 지향하는 것이다. 민족이란 말은 세계평화라는 단어 앞에는 무력해진다. 다만 개별적인 주체성을 가지고, 전체적인 조화를 이룬다는 측면에서 제한적인 의미를 가질 뿐이다. 결국 민족주의는 불교적 관점에서 보자면 극복되어야 할 과제라고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vides into two periods the process of raising
    national consciousness in modern Korean Buddhism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he Period of Admission was the time when the nation’
    s Buddhist circles began to develop national consciousness
    in contact with Western civilization and monks dispatched
    from Japan and with the help of enlightened Korean monks
    who visited Japan. The depth of this self-awareness,
    however, was quite shallow. The Period of Formation was
    the time when such national consciousness came closer
    to maturity, though it seems that the nation’s Buddhists
    were deceived by the Japanese counterparts, who showed
    Koreans deceptive kindness and secretly espoused Japan’
    s cunning plan to invade the nation. The spread of national
    consciousness in this Period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nationalist movements occurred among Korean Buddhists,
    with the prime example of the “establishment of Linchi
    tsung .”
    National consciousness among Korean Buddhists
    manifested itself around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 nationwide protest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Korean Buddhist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hich was issued in Shanghai in 1919,
    strongly denounced the Japanese occupation. In prison, Han
    Yong-un wrote the “Thoughts on Korean Independence,”
    pointing out that the Japanese aggression goes against the
    principles of morality and justice. He declared in the article
    that an independent Korea is not just divine providence, but
    a prerequisite for world peace. That is, his declaration was
    aimed at world peace beyond the confines of nationalism.
    The importance of a people is often overshadowed by the
    cause of world peace. However, a people can be recognized
    when they achieve both autonomy and harmony. In
    Buddhists’ view, therefore, nationalism is an obstacle that
    should be overco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